관세청 조사, 최근 3년간 안경류 수입동향
- 수입산 안경테에 대한 상대적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남
- 렌즈 생산기술 평준화·국내소비자의 패션 선호도 반영
- (수입량) 안경테 13.3%·안경 13.1%·렌즈 6.1% 감소
- (수입액) 안경테 46.4%·안경 21.9%·렌즈 3.2% 증가
[단가] 최근 3년간 꾸준히 상승세, 금년 1분기 들어 상승세 주춤
- ’09-’11년간 안경40%↑·렌즈10%↑·안경테69%↑, 금년 1분기엔 전년대비 안경19%↓·안경테6%↓각각 기록
- ’11년 수입대상국별 개당 최고수입가격은 안경은 캐나다($130.12), 렌즈는 리투아니아($38.49), 안경테는 스위스($99.57)
[대상국] ’11년 수입량 중 중국産 안경(99%), 렌즈(91%), 안경테(70%)
<안경[완제품]>
수입량 감소세·수입액 증가세, 중국産이 대부분
(규 모) 최근 3년간 수입량 13.1% 감소, 수입액은 21.9% 증가
- 수입량은 ’09년 2,321천개 → ’11년 2,016천개로 13.1% 감소
- 수입액은 ’09년 2,021천불 → ’11년 2,463천불로 21.9% 증가
(단 가) 최근 3년간 평균단가 40% 상승, ‘11년 최고가는 캐나다産
- 수입평균가는 ’09년 0.87$/개 → ’11년 1.22$/개로 40.3% 상승
- ’11년 최고 평균단가는 캐나다産(130.12$/개), 최저 평균단가는 중국産(1.01$/개)
○ (대상국) ’11년 중국産이 전체 수입량의 98.5%, 수입액의 81.7% 차지
- 중국産 수입량비중 ’09년 대비 0.7%p 감소, 수입액비중 7.7%p 감소
- 수입대상국은 ’09년 13개국에서 ’11년 27개국으로 14개국 증가
<렌 즈>
최근 3년간 수입규모 감소, 중국産 비중감소와 함께 전체 수입단가는 상승세(콘텍트 렌즈 제외)
(규 모) 최근 3년간 수입량 13.1% 감소, 수입액은 21.9% 증가
- 수입량은 ’09년 36,849천개 → ’11년 34,584천개로 6.1% 감소
- 수입액은 ’09년 45,664천불 → ’11년 47,143천불로 3.2% 증가
(단 가) 최근 3년간 평균단가 40% 상승, ‘11년 최고가는 리투아니아産
- 수입평균가는 ’09년 1.24$/개 → ’11년 1.36$/개로 40.3% 상승
- ’11년 최고 평균단가는 리투아니아産(38.49$/개), 최저 평균단가 레바논産(0.33$/개)
(대상국) ‘11년 중국産이 전체 수입량의 91.4%, 수입액의 79.1% 차지
- 중국産의 수입량 비중은 ’09년 대비 3.4%p 감소, 수입액 비중은 0.5%p 증가
<안경테>
최근 3년간 수입단가 69% 상승, 수입량은 감소세, ‘11년 최고수입가격은 스위스産
(규 모) 최근 3년간 수입량 13.3% 감소, 수입액46.4% 증가
- 수입량은 ’09년 4,203천개 → ’11년 3,644천개로 13.3% 감소
- 수입액은 ’09년 43,822천불 → ’11년 64,148천불로 46.4% 증가
(단 가) ’11년 최고단가는 스위스産, 최저단가는 멕시코産
- 수입평균가는 ’09년 10.43$/개 → ’11년 17.61$/개로 68.8% 상승
- ’11년 최고 평균단가는 스위스産(99.57$/개), 최저 평균단가는 멕시코産(0.89$/개)
(대상국) ‘11년 수입량 기준 중국産 69.6%, 수입액 기준 일본産 32.5%
- 수입량 비중 : 중국産 ’09년 74.7% → ’11년 69.6%로 5.1%p 감소, 일본産 ’09년 11.3% → ’11년 14.5%로 3.2%p 증가
- 수입액 비중 : 일본産 ’09년 34.6% → ’11년 32.5%로 2.1%p 감소, 중국産 ’09년 22.9% → ’11년 24.9%로 2%p 증가
<시사점>
최근 3년간 수입단가는 모두 상승한 반면, 수입량은 전반적으로 감소세. 안경 완제품과 부분품인 렌즈의 단가상승률에 비해 안경테의 단가상승률이 가장 높게 나타남. 이와 같은 현상은 최근 수입대상국별 렌즈 생산기술의 평준화가 일정수준 진전됨에 따라 과거에 비해 브랜드별 가격차가 완화되었고 국내 소비자의 패션 및 고급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반영된 것으로, 저렴한 렌즈와 고가의 안경테를 조합하여 구매할 수 있는 국내 판매구조의 영향을 받은 결과인 것으로 분석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통관기획과
맹철규 사무관
042-481-7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