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분기 승용차 수출입 동향

대전--(뉴스와이어)--관세청이 1/4분기 승용차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1. 총괄

수출은 큰 폭 증가한 반면, 수입은 소폭 하락하여 무역수지 큰 폭 향상

수출은 전년대비 27% 크게 증가한 반면, 수입은 오히려 11% 감소하여 무역수지는 32% 큰 폭 향상

- 수출 : 109억불(82만대) 수출, 전년대비 26.6% 증가
- 수입 : 9억불(3만대) 수입, 전년대비 10.5% 감소
- 수지 : 수출의 큰 폭 증가에 힘입어 약 100억불 흑자, 전년대비 31.7% 증가

국산차의 평균 수출가격은 상승한 반면, 수입차 가격은 하락

1분기 수입차의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전기 대비 모두 하락한 반면, 국산차의 평균 수출단가는 상승하여 수출입 승용차 가격 간 격차 완화

- 수출대비 수입차 평균가격 수준 : ’11년 1분기 2.6배 → 4분기 2.5배’→ ’12 1분기 2.3배
- 평균 수출단가($) : ’09년 9,601 → ’10년 11,508→ ’11년 13,037 → ’12년 1분기 13,255
- 평균 수입단가($) : ’09년 29,264 → ’10년 28,941→ ’11년 31,655→ ’12년 1분기 30,254
- 수출단가는 전년대비 7%↑·전기대비 15%↑, 수입단가는 전년대비 6%↓·전기대비 5%↓

최대 수출대상국은 미국으로 중대형이 인기, 최대 수입대상국은 독일로서 소·중·대형 모두 인기

- 수출 : 경차는 영국, 소형은 사우디·프랑스, 중대형은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
- 수입 : 경차는 중국産이 과반수, 소형 및 모든 중대형 제품은 독일産

1분기 대미 수출실적이 전년대비 36% 증가하여, 한-미 FTA 발효에 의한 관세철폐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

2. 용량별 수출입 동향

[수출]

주력 수출품인 중형 1,500-3,000cc급이 전체 수출실적 향상을 견인, 경유차 수출 증가폭은 휘발유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

경차 (1,000cc이하)수출 전년대비 45.5% 증가, 작년 9.5% 증가율에 이어 상승세

- ’11년 1분기 143백만불 → 금년 1분기 208백만불

소형 1,500cc이하 경유차의 수출은 ‘10년 46%, ’11년 47% 연속 증가세를 이어오다 금년 1분기 들어 9.5배로 폭증

대형에 비해 중형급 승용차 수출 규모폭이 크고, 1,500-2,500cc 경유차량은 지난해 1분기 1,140백만불 규모에서 금년 1분기 1,685백만불을 기록하며 무려 47.8%나 급증함. 전체 수출비중의 65%를 차지하는 1,500-3,000cc급 휘발유차는 금년 1분기 7,082백만불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25.4% 상승

[수입]

경유차 수입규모는 소폭 증가한 반면, 휘발유차 수입규모는 대부분 축소

경차 (1,000cc이하)수출 전년대비 56.7% 감소, 지난해 120% 증가율과 대조적

- ’11년 1분기 90만불 → 금년 1분기 39만불 (56.7%↓)

소형차 1,000-1,500cc 휘발유차는 전년대비 소폭(2.4%) 상승한데 비해, 1,500cc 경유차의 수입은 2.4배나 증가하여 국내소비층의 높은 선호도 반영

중대형 경유차 수입은 큰 폭 증가한 반면, 휘발유차는 모두 감소세

1,500-2,500cc와 2,500cc초과급 용량의 경유차는 전년대비 각각 50.2%, 73.6%씩 큰 폭 증가함. 반면, 1,500-3,000cc 용량과 3,000cc초과급 용량의 휘발유차는 전년대비 각각 25.1%와 42.7%씩 감소

3. 용량별 가격 동향

[수출단가]

대부분 수출단가가 상승, 중형 경유차와 대형 휘발유차의 상승폭 가장 높아

경차 (1,000cc이하) 대당 수출단가는 전년도 $5,437에서 $5,960으로 약 9.6% 증가

소형차 1,000-1,500cc 휘발유차 대당수출단가는 전년대비 9.9% 상승, 1,500cc 경유차의 수출단가는 유일하게 42.7% 하락

주력 수출품목인 1,500-3,000cc 단가 상승, 중대형 단가 상승폭 두드러짐

수출주력품목인 1,500-3,000cc는 전년대비 4.2% 상승한 $13,346를 기록하여 전체 승용차 수출실적 상승에 직접적 영향

2,500cc초과 경유차의 대당 수출단가는 전년도 $22,633에서 금년 1분기 $25,998로 17.2% 상승

3,000cc 초과 휘발유차도 전년대비 12.2% 올라 $25,397 기록

[수입단가]

중소형 수입차 가격은 하락, 대형차 가격은 소폭 상승하는 양극화 현상 발생

소형 1,000-1,500cc 휘발유차는 전년대비 소폭(3.6%) 감소한데 반해, 1,500cc 경유차의 수입단가는 소폭(5.5%) 상승

- 1,000-1,500cc : ’11년 1분기 $19,216 →’12년 1분기 $18,530
- 1,500cc : ’11년 1분기 $18,320 →’12년 1분기 $19,321

중대형 승용차의 수입단가 소폭 하락한 반면, 대형 승용차는 소폭 상승

중형급인 1,500-2,500cc경유차와 1,500-3,000cc휘발유차의 대당평균수입단가는 전년대비 각각 2.9%, 6.2% 하락

2,500cc초과 차량의 단가는 $42,927로 전년대비 2.4% 상승, 3,000cc초과용량도 전년대비 5.5% 상승하여 $45,800 기록

4. 교역 대상국별 동향

[수출 대상국]

유럽은 경차·소형차를 선호하는 반면, 북미는 중대형 선호도가 높음

경차(1,000cc이하)에 대한 유럽의 선호도가 매우 높고, 최대수출대상국은 영국

- 영국(14.7%)·네델란드(13.8%)·이탈리아(10.8%)의 順

소형차 1,500cc이하 경유차는 프랑스 수출비중이 17.5%로 가장 높고, 1,000-1,500cc 휘발유차의 최대수출대상국은 사우디아라비아(13.0%)

중대형 승용차는 미국으로 대부분 수출, 대형차량은 과반수를 초과

- 1,500-2,500cc 최대수출대상국은 독일(11.7%), 1,500-3,000cc급 최대수출대상국은 미국(31.0%)
- 2,500cc초과용량 최대수출대상국 러시아(50.2%)이며, 3,000cc초과 대형급의 경우 對미국 수출이 52.3%로 과반수를 차지

[수입 대상국]

소형은 중국·인도産 수입이 강세, 중대형은 독일産이 대부분

경차 (1,000cc이하)는 중국産 비중이 56.9%로 과반수를 차지함

- 중국(56.9%)·프랑스(17.3%)·대만(16.9%)의 順

소형차 1,500cc이하 경유차는 인도産 비중이 29.1%로 가장 높고, 1,000-1,500cc 휘발유차의 독일産이 전체수입의 2/3 차지

중대형 승용차는 대부분 독일産이며, 모든 용량별 비중에서 과반수 차지

- 중대형 승용차 수입에서 독일産이 차지하는 비중은 1,500-2,500cc급 (70.3%), 1,500-3,000cc급(54.1%), 2,500cc초과(60.4%), 3,000cc초과(60.3%)

독일産 중대형을 제외하면 미국·일본·영국産 제품이 인기

- 1,500-2,500cc급 영국産이 2위(11%), 1,500-3,000cc급 미국産 2위(20.8%), 2,500cc초과는 미국産 2위(19.8%), 3,000cc초과는 일본産 2위(18.9%)

5. 시사점

금년 1분기 국내 수입차의 대당평균가격과 국산차의 해외 수출가격간의 격차는 전년대비 32%p 완화되었음

국산차 대비 수입 외제차의 대당가격수준은 전년도 1분기 260%에서 금년 1분기에는 228% 수준으로 약 32%p 감소하였음

최대수출 대상국인 대미수출이 금년 1분기에 전년대비 36% 증가하여 한-미 FTA가 발효에 따른 관세인하 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

최근 국제 고유가(高油價)시대에 접어들면서 휘발유차 보다는 경유차에 대한 선호도가 수출입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경차 및 소형차에 대한 수요도 증가세를 나타냄

국내 수입차의 가격동향을 살펴보면, 경차 및 중소형 승용차는 보다 저렴해지고, 중대형 승용차의 가격은 소폭 상승세를 나타내 가격의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통관기획과
맹철규 사무관
042-481-7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