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국내 최대 안전체험장 ‘세이프 한마당’ 개최

서울--(뉴스와이어)--어린이날과, 야외 활동이 부쩍 증가하는 5월,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본부장 조성완)가 최근 5년간(2007~2011) 119구조대가 처리한 어린이 안전사고 유형을 내놨다.

눈길을 끄는 것은 전체 8,170건의 사고 중, 5월에 805건 (9.9%)이 발생해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6월 769건(9.4%), 8월 753건(9.2%)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적게 발생하는 달은 1월 523건(6.4%), 2월 550건 (6.7%), 12월 608건(7.4%) 순으로 나타나, 1월 대비 5월 사고율이 1.5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월별 특징적인 것은 수난사고 전체 20건 중, 60%인 12건이 7,8월에 집중되어 있고, 큰 부상이 우려되는 추락사고도 30여건에 이르고 있어, 계절별, 장소별 체계적인 예방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어린이 안전사고는 매년 평균 1,630건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매일 4.5건 꼴로 발생한다. 최근 5년 사고 유형별로는 갇힘사고 6,140건(75%)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끼임사고 1,513건(18.5%), 동물위협 139건(1.7%), 교통사고 136건(1.7%), 산악사고 61건(0.7), 추락, 수난사고 순이었다.

어린이 안전사고의 가장 큰 유형인 갇힘사고 6,140건 중, 가정 집, 유치원, 학교 등 건축물 실내 갇힘이 4,475건(73%)으로 가장 많았으며, 승강기 1,138건(18.5%), 차량갇힘도 515건 (8.4%)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안전사고 유형 중, 두 번째로 많은 끼임사고는, 전체 1,513건 중, 방문, 현관문, 회전문 등 건축시설이 340건 (22.5%)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운동기구 268건 (17.7%) 장난감 236건(15.6%), 가구류 231건(15%). 놀이 기구 198건(13%) 순이었다.

건축시설 끼임사고는 방문, 현관문, 회전문 등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운동기구는 자전거가, 장난감에서는 반지, 가구류에서는 의자 가 끼임 원인 1위로 나타났다.

- 어린이 안전사고 동영상 서울시 웹하드 업로드 //webdisk.eseoul.go.kr
- 자료 : 회전문끼임, 의자끼임, 유아용변기 끼임, 자전거 끼임, 머리에 자전거 주전자 끼임,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주의력이 떨어지고, 활동량이 왕성한 어린이들은 항상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며, 부모의 세심한 관심과 체험 교육 등을 통해 안전수칙을 심어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시에서는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국내 최대 안전체험장인 ‘세이프 서울 한마당’을 개최한다.

‘세이프 서울 한마당’은 5.10(목) ~ 5.12(토)까지 3일간 여 의도공원 문화광장에서 한국어린이 안전재단, 어린이 동화구연 단체인 색동회, 안실련 등 61개 기관이 참여하며, 106개의 다 양한 안전체험 코너와 공연 등으로 자연스럽게 안전문화를 접하 게 된다.

이번 6회를 맞는 ‘세이프 서울 한마당’은 그동안 40여만 명의 (매년 8만 여명 참여) 어린이와 청소년, 학부모들이 다녀가 국내 최대 안전체험장으로 자리매김을 했다.

‘세이프 서울 한마당’은 생활안전은 성학대 예방 인형극 등 20개 코너, 교통안전은 안전한 자전거 타기 등 9개 코너, 재난안전은 지진체험 등 10개 코너, 화재안전은 동화구연 등 15개 코너 등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어린이의 흥미를 끌 마술쇼, 로봇 전시회,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이 출전하는 동화구연 경연대회 등 풍성한 코너가 많아, 5월 어린이들에게 최고의 종합선물세트가 될 듯하다.

조성완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미래의 희망인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국가와 모든 사회단체, 부모 등 어른들의 책무라며, 아무쪼록 ‘세이프 서울 한마당’에 많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참여해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세이프 서울 한마당’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인터넷 (http://fire.seoul.go.kr/safe_seoul)에서 확인 가능하며, 20명 이 상 참여단체는 인터넷 예약을 하면 된다. 당일 방문해도 참여는 가능하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구조대책팀
재난대응과장 이형철
02-3706-140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