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새로운 재개발 방식 첫 도입

서울--(뉴스와이어)--전면철거후 획일적인 아파트 건립방식에서 탈피하여 저층주거지를 보전·관리하면서 아파트를 건립하는 정비방식을 병행하는 새로운 재개발 방식을 첫 도입하였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서울시는 5.2(수)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해 노원구 중계동 30-3번지 일대 188,900㎡중 42,773㎡를 저층 주거지보전구역으로 변경하는 주택재개발 정비계획 변경(안)을 결정했다.

이는 서울시의 ‘서울시 뉴타운·정비사업 新정책구상’ 발표시 사업성과 전면철거 중심에서 ‘인간답게 살 권리’를 보장하는 공동체, 마을 만들기 중심으로 전환한다고 발표한 이후 첫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사람과 장소 관점에서 60~70년대 주거·문화의 모습과 자연지형, 골목길 및 원래 필지에 의한 도시흔적들을 그대로 간직한 중계동 백사마을의 일부지역을 주거지보전구역으로 지정하였다.

저층 주거지 보전구역은 유네스코 역사마을 보전원칙에 따라 기존의 지형, 골목길, 원래 필지를 유지하면서 리모델링 또는 신축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이 건립될 예정이다.

기존의 노후불량주거지를 전면철거후 획일적인 아파트 건설방식과는 달리 기존 지형, 골목길, 원래 필지를 유지하면서 자연지형을 따라 형성된 저층의 주거지를

리모델링과 신축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존·관리하면서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 건립과 함께 일부 지역에는 아파트 건립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특별건축구역 지정 및 건축커미셔너 제도 도입으로 일관되고 지속가능한 단지계획을 수립하면서 마을박물관, 문화전시관 건립 등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함께 모색할 계획이다.

디자인가이드라인 등 건축설계지침 제시를 통해 초기부터 준공시까지 일관된 컨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건축커미셔너 제도를 도입하고, 특별건축구역 지정으로 창의적인 건축과 도시경관이 창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아울러 1인 세대를 위한 주택 등 다양하고 저렴한 임대주택을 확보하고, 작은 마을박물관 및 문화전시관 건립운영과 공원내 마을 공동텃밭 등을 도입하므로 이웃간, 세대간 소통과 나눔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금번 주택재개발 정비계획이 변경됨에 따라 금년 하반기에는 사업시행인가를 거쳐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하여 2016년에 완공할 예정이다.

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백사마을의 주거지보전구역 지정은 재개발 역사에 새로운 획을 긋는 중요한 사건이며, 60~70년대의 옛 정취가 가득 담긴 주거·문화생활의 모습과 도시의 흔적이 앞으로도 계속 보전·관리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주택본부
주거재생과 박종문
02-3707-823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