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일반 주택화재 피해 줄이기 총력전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조성완)는 최근 3년 서울에서만 화재로 108명이 사망했으며, 이중 일반주택의 화재 사망자가 58명에(54%) 이른다며, 일반 주택화재 피해 줄이기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주택화재 피해는 대부분 야간 취 약 시간에 발생하며, 조기에 인지를 못해 사망이나 큰 부상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다며, 이는 일반주택이 일반건축물과 달리 소방시설 설치 의무대상에서 제외되어 피해가 큰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 2월 5일부터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모든 신규주택에 소방시설(소화기, 단독경보형감지기) 설치를 의무화됐으며, 기존 주택은 5년 유예를 두어 설치를 하도록 규정됐다.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단독경보형감지기 설치 후 미국은 1977년부터 25년간 주택화재 사망자가 54% 감소했고, 영국은 1988년부터 13년간 사망자수가 34% 감소했다며, 선진국의 사례로 보아 주택에 기초소방시설 설치가 완료되면 사망률 감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단독경보형감지기는 화재 초기 연기를 감지, 경보를 발해 화재의 초기 인지 및 조기 피난을 돕는 소방기구로 가격은 2만 원대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주택화재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존 주택에 단독경보형감지기 등 기초소방시설 설치를 조기에 마치는 것이 관건이라며, 대대적인 설치 독려 캠페인을 전개한다.
오는 5월 4일(금) 14:00부터 서울시 28개 주택 밀집지역에 ‘화재없는 안전마을’을 지정하고, 소화기(1,300대)와 단독경보형감지기(1,200개)를 소방공무원과 의용소방대원들이 직접 설치하며, 조기설치 캠페인을 실시한다.
조성완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동대문구 용두동 동부경로당 주변지역의 캠페인에 참석하여 구의회의장 및 구의원과 함께 가가호호 방문 단독경보형감지기 설치 및 홍보에 참여한다.
주민과 평소 유대관계가 깊은, 각 동의 통장을 ‘주택화재 안전지킴이 홍보대사’로 위촉하여 주민들에게 조기 설치를 유도한다.
서울시 발행 간행물 및 반상회보, 홈페이지 등을 통해 조기 설치의 필요성을 홍보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또한, 소방교육이나, 각종 출동, 훈련 귀소 시 차량 방송을 통해 조기설치를 적극 안내하고, 대형 할인점에 판매코너를 설치해, 시민들이 쉽게 구입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한편, 홀몸어르신과 저소득층 32,731세대에 대해서는 시정운영방침인 ‘서민 안심 생활안전서비스 확대’에 따라, 금년 말까지 11,300세대 (39.5%)를 무료 설치하고, 2014년까지 100% 무료 설치를 완료한다.
조성완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시민의 생명보호가 소방공무원의 가장 큰 사명이라며, 전 소방공무원이 주택 소방시설 조기 설치 독려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예방과 박철우
02-3706-1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