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5개 자치구 민원처리속도 ‘스피드지수’ 공개
서울시 스피드지수(단축률)는 처리완료 된 유기한 민원의 처리 속도를 계량화해 표기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10일 기한 민원을 2일 만에 처리했을 시 스피드지수는 80%이다.
즉, 스피드지수가 높을수록 기간을 많이 단축했다는 것이므로 민원처리속도가 빨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 스피드지수 = 건별 단축처리기간 총합/건별 법정처리기간 총합 × 100
서울시는 시 본청·사업소의 민원처리 스피드지수를 공개해 성과를 거둔 것에 힘입어 시민생활과 밀접한 민원이 많은 25개 구청까지 공개대상을 확대한다고 7일(월) 밝혔다.
시는 지난해 4월부터 실·국별 민원처리속도를 실시간 스피드지수로 환산해 시 홈페이지 및 다산플라자 전광판 등에 공개하고 있다.
또한, 각 실·국별 스피드지수 현황을 분석해 해당 실·국에 통보,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고 실적이 저조한 부서에 대해서는 대책을 촉구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는 자치구의 지속적인 노력을 유도하고, 우수한 자치구를 선발해 포상을 실시하는 등 꾸준히 민원처리속도를 끌어올릴 계획이다.
시는 스피드지수 공개를 비롯한 다양한 노력을 통해 '09년 75.1 이었던 스피드지수를 올해 3월 85.3까지 끌어올리는 등 민원처리속도를 향상시킨 바 있다.
85.3이라는 스피드지수는 10일 동안 처리해야 할 민원을 85.3%만큼 단축해 약 1.5일 만에 처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8일(화)에 공개되는 각 자치구별 스피드지수는 법정처리기간 1일 이상인 민원 자료들 중 올해 4월에 처리가 완료된 것을 산출한 각 자치구의 평균 대푯값이며, 매월 말 기준으로 표출된다.
각 자치구 스피드지수는 서울시 홈페이지 메인화면 하단의 속도계 모양 아이콘에 마우스를 갖다 대면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는 전 자치구의 민원처리속도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어 자치구에서 시민들의 민원을 얼마나 빠르게 처리하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됐으며, 서울시 민원서비스 수준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안준호 서울시 시민소통기획관은 “이번 자치구 스피드지수 공개로 시민들의 생활 밀접형 민원에 대한 일처리가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시민 모두가 감동할 수 있도록 민원서비스에 대한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개선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시민소통기획관
시민봉사담당관 이원근
02-361-3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