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조사료 생산문제 해결 위해 생산현장에서 정책토론회 가져
이번 토론회는 축산 농가에서 안정적인 조사료의 확보가 어려운 가운데 국내산 조사료가 가장 많이 생산되는 전북과 전남 지역의 ‘현장 목소리’를 듣고 도출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기 위한 자리였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겨울철 사료작물인 청보리 등의 품종별 재배 현장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혼파재배 현장을 둘러보고, 생산자협의체 조합의 기조발언을 시작으로 지정토론자들이 해결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으로 진행돼 많은 긍정적 결과를 이끌어냈다.
조사료 생산 확대를 위해서는 경종농가의 소득, 국내 작부체계에 적합한 종자의 생산·보급, 원활한 유통, 그리고 소비자인 축산농가가 국내산 조사료를 이용하는데 품질과 서비스 측면에서 만족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하면서 각 분야별 공조체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가장 큰 걸림돌인 유통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농협의 단일 통로에서 지자체 또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계약거래 활성화 등이 시급한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또한, 이상기온, 가뭄, 집중호우 등 재해성 기상이변이 급증해 작물의 생산이 불안정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조사료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는 청보리와 귀리, 트리티케일,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등 혼파 생력재배기술과 지역특성에 맞는 맞춤형 조사료 생산기술 체계가 확립돼 지역별 자급량이 늘어나면 유통문제 등도 다소 해소 될 것으로 보인다.
토론회에 참석한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는 “최근 정부가 조사료 증산대책을 수립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지역 간 생산 불균형에 따른 운반비, 조제비 등의 소모성 예산에 많이 편중돼 있어 생산자와 소비자간 품질의 신뢰성 회복 등 상호 협조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하면서, “앞으로도 조사료 증산을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벼맥류부 박기훈 부장은 “국내산 조사료의 생산 기반확충은 사료작물의 종자생산·보급체계 확립과 소비자 중심 유통체계의 제도적인 확대가 이뤄져야 가능하며, 무엇보다 경종농가가 품질 좋은 조사료를 생산함으로써 소득향상만 보장된다면 국내 조사료 시장은 자연적으로 활성화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맥류사료작물과
박태일 연구관
063-840-2239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