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이종장기 개발 연구 인프라 본격 가동
이번에 준공하는 미래형동물자원동은 연면적 6,241m2(1,888평)으로 총 169억 원(교육과학기술부 출연금)이 투입돼 지하 2층 지상 3층으로 구성되어 약 3년간의 공사를 거쳐 건설되었으며, 차세대 실험동물 자원인 미니돼지 전문 연구지원 시설로서, BT, NT, IT 융합 첨단생명공학산물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더불어 기존 국가영장류센터 영장류 자원 인프라와 함께 세계최초로 영장류/미니돼지 복합 인프라 시설 구비로 이종장기 이식연구 등의 산·학·연 바이오장기 연구 지원 업무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생명硏 오창캠퍼스 바이오의약연구소 내에는 2005년 국가영장류센터를 시작으로, 2007년에 바이오평가센터, 2009년에 바이오신약연구동이 완공되어 바이오신약 및 재생의학 연구개발을 위한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바이오소재 생산공정개발 및 산·학·연 산업화 지원 인프라인 바이오 상용화센터가 2013년 준공을 목표로 현재 건설 중이다.
생명硏 정혁 원장은 “오창캠퍼스 바이오의약연구소 내 국가영장류센터·바이오평가센터·바이오신약연구동과 함께 미래형동물자원동을 상호 연계 활용한다면 바이오신약, 바이오장기 및 재생의학 연구 분야에서 국가과학 역량을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될 것이며,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와 대덕벨리를 연계하는 중부권 바이오벨트의 핵심 축을 형성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한편 도 관계자는 “이번에 준공하는 미래형동물자원동이 국내 미니돼지 생산 및 자원화로 바이오신약, 바이오장기 및 재생의학 연구분야의 핵심 중추 역할을 담당할 것이며 충북이 세계적 바이오 클러스터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데 촉매역할을 하고 ‘생명과 태양의 땅 충북’을 실현하는 데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충청북도청 개요
충청북도청은 157만 도민들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22년 5월부터 김영환 도지사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충청북도의 비전은 도민이 체감하는 충북경제 활력 제고, 지속 가능한 미래 일자리 창출 기반 구축, 소상공인과 사회적 경제 기업의 자생력 강화 생태계 조성, 미래형 에너지 구조 전환과 신산업 선점으로 에너지 자립률 제고, 글로벌 경제 영토 확장을 통한 충북 수출 견인 등 5대 전략 목표를 통해 충북 경제(GRDP) 100조원 시대로 도약하는 것이다. 충청북도는 정책 실명제를 도입해 주요 정책의 결정 및 집행 과정에 참여한 관련자의 소속·직급 또는 직위 및 성명과 의견을 기록·관리함으로써 정책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담당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cb21.net
연락처
충청북도청
바이오산업팀장 이원기
042-220-4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