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월 농축수산물 수입가격 동향
- 수입가격 지수 포함
I. 농산물
1. 양념채소류
마늘·생강·신선양파·냉동고추는 하락 안정세, 건조고추는 상승
- 고추(건조)는 9,031원/kg,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80.2%
※ 중국 현지가격 상승 등으로 수입량(△75%)도 감소
- 고추(냉동)는 894원/kg, 전월대비 +2.9%, 전년동월대비 +0.6%
- 양파(냉동)는 728원/kg, 전월대비 △10.8%, 전년동월대비 +1.6%
양파(신선냉장)는 547원/kg, 전월대비 +37.6%, 전년동월대비 △35.1%
※ 주산지인 중국 산동지역 출하량 증가로 수입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국내산 가격과 비슷한 수준 (수입량도 전년보다 46.9% 감소)
- 생강은 1,868원/kg, 전월대비 △46.4%, 전년동월대비 △33.9%
- 마늘(신선냉장_무탈피)은 1,514원/kg, 전월대비 +51.9%, 전년동월대비 △46.0%
마늘(냉동)은 1,018원/kg, 전월대비 △19.3%, 전년동월대비 △52.8%
※ 주수입국인 중국 현지 가격이 하락세 지속
2. 일반채소류
배추·양배추·당근 이외는 전반적으로 하락 안정세
- 배추(신선,냉장)는 883원/kg, 전년동월대비 +75.0%, 전년동월대비 +145.3%
※ 겨울배추 작황 악화로 수요가 증가하여 지난달에 비해 수입량이 46.2% 증가
- 양배추(신선,냉장)는 497원/kg, 전월대비 △1.4%, 전년동월대비 +51.9%
- 당근(신선,냉장)은 641원/kg, 전월대비 +10.4%, 전년동월대비 +11.3%
※ 중국산 겨울당근 산지가격 상승, 국내산 겨울당근의 상품성 저하로 고품질의 중국산 수입수요 증가
- 무(건조)는 1,217원/kg,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2.2%
무(신선,냉장)는 283원/kg, 전월대비 △0.6%, 전년동월대비 △16.5%
- 표고버섯(신선,냉장)은 5,252원/kg, 전월대비 △1.5%, 전년동월대비 △2.3%
- 고사리(건조)는 8,717원/kg, 전월대비 △6.7%, 전년동월대비 △4.5%
- 도라지(신선,냉장)는 4,502원/kg, 전월대비 +0.9%, 전년동월대비 △12.8%
- 호박(신선,냉장)은 949원/kg, 전월대비 +3.5%, 전년동월대비 △16.7%
3. 곡물류
밀(제분용)·강낭콩·팥·생두는 하락, 옥수수는 상승
- 옥수수(팝콘용)는 925원/kg,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26.2%
옥수수(사료용)는 352원/kg, 전월대비 △0.6%, 전년동월대비 +6.3%
옥수수(가공용)는 376원/kg, 전월대비 △3.0%, 전년동월대비 +4.1%
※ 옥수수의 국제시장 가격 상승으로 수입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세 지속
- 커피(원두)는 21,462원/kg, 전월대비 △14.3%, 전년동월대비 +3.1%
커피(생두)는 5,121원/kg,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15.0%
- 강낭콩(건조)은 657원/kg, 전월대비 +18.3%, 전년동월대비 △3.7%
- 밀(제분용)은 390원/kg, 전월대비 +6.5%, 전년동월대비 △12.8%
- 팥(건조)은 1,429원/kg, 전월대비 △1.0%, 전년동월대비 △22.5%
4. 과일류
포도·오렌지·키위는 하락, 레몬·파인애플·바나나는 상승
- 레몬은 2,270원/kg, 전월대비 +5.4%, 전년동월대비 +11.3%
- 파인애플은 1,165원/kg, 전월대비 △0.6%, 전년동월대비 +9.9%
- 바나나는 1,244원/kg, 전월대비 +12.1%, 전년동월대비 +9.7%
- 포도는 2,936원/kg, 전월대비 △9.5%, 전년동월대비 △0.5%
- 오렌지는 1,930원/kg, 전월대비 +1.6%, 전년동월대비 △3.1%
- 키위는 1,901원/kg, 전월대비 △33.2%, 전년동월대비 △43.7%
※ 주 수입국인 뉴질랜드보다 저렴한 칠레산 수입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큰폭 하락
5. 견과류
아몬드·밤(신선)은 하락, 호두·냉동밤은 상승
- 호두(탈각)는 15,189원/kg, 전월대비 +4.9%, 전년동월대비 +21.8%
- 밤(냉동)은 3,116원/kg, 전월대비 +4.8%, 전년동월대비 +12.1%
※ 저장물량 감소 등으로 국내산 가격 상승 → 냉동밤 위주의 수입 증가
밤(신선,건조_무탈각)은 2,701원/kg, 전월대비 +7.7%, 전년동월대비 △5.6%
- 아몬드(탈각)는 6,146원/kg,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7.7%
※ 100% 미국산으로 한-미 FTA체결로 관세가 철폐(8%→0%)되어 수입가격 하락세 지속
6. 완제품
밀가루·설탕은 하락, 두부·김치는 상승
- 두부는 4,954원/kg, 전월대비 △2.6%, 전년동월대비 +13.2%
- 김치는 722원/kg, 전월대비 +8.5%, 전년동월대비 +6.8%
※ 중국산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면서 김치 생산원가가 상승
- 밀가루는 589원/kg, 전월대비 △5.6%, 전년동월대비 △19.4%
- 설탕은 1,039원/kg, 전월대비 △2.4%, 전년동월대비 △26.5%
※ 양호한 기후여건 등으로 안정적 수급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 국제 원당 가격이 하락
II. 축산물
1. 육류
(쇠고기) 전월대비 +1.9%, 전년동월대비 △2.4%
- 소갈비(냉장)는 8,410원/kg, 전월대비 △1.5%, 전년동월대비 △12.9%
- 소갈비(냉동)는 6,579원/kg, 전월대비 +6.2%, 전년동월대비 △9.5%
- 순살(냉장)은 13,602원/kg, 전월대비 +1.5%, 전년동월대비 +7.7%
- 순살(냉동)은 7,937원/kg, 전월대비 +0.9%, 전년동월대비 +2.9%
(돼지고기)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10.5%
- 삼겹살(냉동)은 4,857원/kg,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29.6%
※ 할당관세 적용(0%)에도 불구하고 주수입국인 EU의 산지가격 상승으로 수입가격이 상승
(비중) 유럽산 81.9% 기타 18.1%
- 기타(냉동)부위는 3,288원/kg, 전월대비 +1.5%, 전년동월대비 △2.4%
(닭고기)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32.7%
- 닭가슴(냉동)은 3,986원/kg, 전월대비 △1.9%, 전년동월대비 +0.6%
- 닭날개(냉동)는 3,529원/kg, 전월대비 △1.1%, 전년동월대비 △5.5%
- 닭다리(냉동)는 2,798원/kg, 전월대비 +0.0%, 전년동월대비 +43.4%
※ 미국산 닭다리 수입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닭고기 수입가격 상승세를 견인
2. 완제품
할당관세 적용에 따라 버터, 치즈(모차렐라) 등 주요 낙농식품은 안정세
- 치즈(모차렐라)는 6,266원/kg, 전월대비 △5.8%, 전년동월대비 △2.5%
※ 할당관세 적용(36→0%)에 따라 수입가격이 안정세 지속
- 버터는 6,760원/kg, 전월대비 +9.2%, 전년동월대비 △9.2%
※ 할당관세 적용(40→0%)에 따라 수입가격이 안정세 지속
- 소시지는 4,932원/kg, 전월대비 +11.6%, 전년동월대비 +5.8%
III. 수산물
1. 활어
미꾸라지·돔 등 주요 활어의 가격 상승세
- 미꾸라지는 6,923원/kg, 전월대비 +1.7%, 전년동월대비 +21.2%
- 돔은 15,846원/kg, 전월대비 +2.6%, 전년동월대비 +12.8%
- 농어는 10,686원/kg,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8.3%
2. 신선어류
명태·갈치 등 주요 신선어류 가격은 상승, 낙지는 하락
- 대게는 20,835원/kg, 전월대비 △18.1%, 전년동월대비 +74.7%
- 명태는 4,152원/kg,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40.0%
- 주꾸미는 6,020원/kg, 전월대비 △1.6%, 전년동월대비 +33.2%
- 가리비는 4,749원/kg, 전월대비 +4.2%, 전년동월대비 +27.7%
- 갈치는 12,123원/kg,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14.7%
- 바지락은 1,164원/kg, 전월대비 +3.3%, 전년동월대비 +6.8%
- 낙지는 7,251원/kg, 전월대비 △10.6%, 전년동월대비 △11.3%
3. 냉동어류
오징어·대구·고등어·조기는 하락, 기타 주요 냉동어류의 가격은 상승
- 홍어는 5,651원/kg, 전월대비 +20.3%, 전년동월대비 +29.2%
- 꽃게는 4,300원/kg, 전월대비 +0.9%, 전년동월대비 +20.8%
- 갈치는 5,215원/kg, 전월대비 +3.5%, 전년동월대비 +19.5%
- 가리비는 6,615원/kg, 전월대비 +4.0%, 전년동월대비 +18.1%
- 임연수어는 3,023원/kg, 전월대비 △6.0%, 전년동월대비 +17.6%
- 주꾸미는 4,364원/kg,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15.8%
- 꽁치는 1,876원/kg, 전월대비 +2.4%, 전년동월대비 +14.4%
- 낙지는 5,275원/kg,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1.0%
- 가오리는 3,347원/kg, 전월대비 △2.9%, 전년동월대비 +5.8%
- 명태는 1,363원/kg, 전월대비 +7.6%, 전년동월대비 +3.7%
- 조기는 6,040원/kg, 전월대비 +5.6%, 전년동월대비 △0.6%
- 오징어는 1,694원/kg, 전월대비 △5.3%, 전년동월대비 △7.1%
- 대구는 3,111원/kg, 전월대비 △13.1%, 전년동월대비 △12.2%
- 고등어는 2,331원/kg, 전월대비 +2.6%, 전년동월대비 △13.6%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통관기획과
사무관 강경훈
042-481-78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