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어린이 급식시설 식자재 안전성 검사 결과 적합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는 어린이 급식 식자재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4월 13일부터 2주간 전체 2,031개소 중 20%에 해당하는 417개소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방문해 농산물 65건, 축산물 51건 등 116개 품목에 대해 검사한 결과 모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5개 자치구 민관합동 점검반이 각 시설에서 구매한 농산물과 축산물을 수거해 ▴잔류농약 ▴잔류항생·항균물질 ▴부패도 등에 대한 안전성을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 검사한 결과다.

이와 함께 유치원, 어린이집 등에 대한 ▴유통기한 경과식품 사용여부 ▴보관기준 적정여부 ▴무허가식품 사용여부 등 식품의 위생적 취급에 대한 조사도 이뤄졌는데 모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는 서울시가 그간 지속적으로 실시한 도매시장과 유통매점 등에서 농·축산물 수거검사 및 사후 관리한 효과와 유치원 등 각 시설에서의 식품안전 의식수준 향상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점검에서 구매실태도 함께 조사되었는데 구매방법으로 직접구매 55.9 %, 위탁구매 43.9 %로 나타났으며, 구매 장소는 집단급식소 식품판매업소 32.1%, 대형식품매장 23.2%, 인근마트 18% 등으로 조사됐다.

최근 친환경 학교급식 등 어린이에 대한 먹을거리가 중요시되고 있는 만큼 어린이급식시설에 대한 식자재 관리가 어른들의 급식과는 차별화되어 체계적이고 엄격한 관리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어린이 대상 급식시설의 경우는 친환경 및 우수농산물 등의 식자재 사용을 권장하거나 의무화할 수 있는 법령정비를 보건복지부에 건의하고 안전성 검사결과와 식자재의 구입 및 보관 등에 대한 집단급식소에서의 위생적 관리방법 홍보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위생 점검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김경호 복지건강실장은 “이번 검사에서 농·축산물의 안전성이 어느 정도 입증되었으나 어린이 먹을거리에 대해서는 더욱 엄격하게 관리하여 더 좋은 급식이 제공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복지건강실
식품안전과
박경원
02-6361-386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