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문경에 ‘폐광지역 경제자립형 개발사업’ 추진
- ‘15년까지 590억 투입, 13만평 규모의 첨단 IT 산업단지 조성
폐광지역 경제자립형 개발사업은 전국 4개도 7개 시·군이 함께 추진하는 초 광역사업으로, 2010년 12월 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 지난해 9월 최종 국책사업으로 확정되어 추진 중에 있다.
사업의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문경시 신기동 740번지(주평들) 일원에 590여억 원을 투입하여 2015년까지 약 439,686㎡ 규모로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의료기기, 정밀, 광학기기 등 환경적인 영향이 적은 첨단업종을 주로 생산하는 친환경 하이테크 산업단지인 ‘신기제2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향후 산업단지 조성이 완료되고 관련 업체들이 모두 입주할 경우 약 1,100여개의 일자리가 생기고 965억원의 생산유발효과가 예상돼 낙후된 문경 폐광지역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거 문경지역은 36개 탄광에서 연간 300만톤을 생산하여 전국 석탄생산의 12%를 책임지는 대표적 탄광지대였으나 에너지 소비패턴 변화(석탄→석유)와 정부의 석탄합리화사업 추진 등으로 현재 탄광은 모두 폐광되었다.
이로 인해 한때 지역 경제가 붕괴되고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여 도시존립 기반마저 붕괴될 정도로 큰 아픔을 겪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정부에서는 ‘95년 12월 ‘폐광지역개발지원에관한특별법’을 제정하였고, 그 다음해인 ’96년 8월 문경시 5개 읍면동 125.9㎢ 일대를 ‘폐광지역진흥지구’로 지정하여 폐광지역개발사업, 폐광대체산업융자지원 등 대체산업기반을 지속적으로 조성한 결과, 현재 문경지역은 TV드라마 촬영장, 문경골프장, 활공장, 크레이사격장, 철로자전거, 석탄박물관 등 천혜의 자연자원을 이용하여 ‘스쳐가는 관광지’가 아닌 ‘찾아오는 관광지, 머무는 관광지’로 탈바꿈하고 있다.
또한 사통팔달의 교통여건과 최적의 정주여건으로 산업단지 분양이 조기에 완료되는 등 산업체 입주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경상북도청 개요
경상북도청은 272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06년 7월부터 시민의 선거를 통해 당선된 김관용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도청이전 신도시 명품화 프로젝트, 한반도 역사·문화산업 네트워크 구축,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 FTA대응 농어업 경쟁력 강화, 백두대간·낙동정맥 힐링벨트 조성, IT 융복합 신산업벨트 조성, 초광역 SOC 도로·철도망 구축, 동해안 첨단과학 그린에너지 거점 조성, UN과 함께하는 새마을운동 세계화, 민족의 섬 울릉도·독도를 2014년 10대 전략 프로젝트로 삼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yeongbuk.go.kr
연락처
경상북도청
일자리경제본부
신성장산업과
강황묵
053-950-2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