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 국민 당류 섭취량 평가결과 발표
※ 주식 : 주식, 간식 등과 같은 조리식품과 식사 대용 식품
※ 가공식품 : 커피류, 음료류, 과자 및 빵류, 탄산음료 등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최근 3년간(‘08년~’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외식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등을 활용하여 우리 국민의 당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조사 방법은 최근 3년간(‘08년~’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외식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등을 활용하여 ▲국민 당 섭취량 ▲가공식품 종류에 따른 당 섭취 기여도 ▲연령별, 성별에 따른 당 섭취 패턴 등을 통계 분석한 것이다.
이번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주식보다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 비중 높아져 총 당 섭취량 증가
‘10년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당 섭취량은 61.4g으로 ’08년 49.9g에 비해 23%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인 1일 평균 당 섭취량 : 49.9g(‘08) → 52.9g(’09) → 61.4g(‘10)
※ 1인 1일 평균 당 섭취량(과일/우유 제외) : 32.9g(‘08) → 34.2g(’09) → 41.5g(‘10)
특히, ‘10년 당 섭취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주식을 통한 당 섭취량은 지난 3년간 큰 변화가 없었지만,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이 크게 증가함으로써 전체 섭취량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주식을 통한 당 섭취량은 ‘08년 13.6g에서 ’10년 14.2g으로 늘어 0.6g(4%)이 증가한 반면,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은 ‘08년 19.3g에서 ’10년 27.3g으로 8g(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당 섭취량 중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이 차지하는 비율도 ‘08년 38.6%, ’09년 38.7%, ‘10년 44.4%로 나타났다.
※ 주식을 통한 당 섭취량 변화 : 13.6g(‘08)→13.8g(‘09)→14.2g(’10)
※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 변화 : 19.3g(‘08)→20.5g(‘09)→27.3g(’10)
□ 모든 연령대에서 당 섭취량 증가하고, 남성이 여성보다 많아
모든 연령대에서 당 섭취량이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당 섭취량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만 30세~49세(중·장년층, 66.7g)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만 12세~18세(중·고등학생, 66.2g) ▲만 19세~29세(대학생 및 청년, 65.7g)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고등학생의 당 섭취량이 초등학생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부모 등 보살핌을 받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고 학교, 학원 등 외부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 초등학생(6~11세) vs 중·고등학생(12~18세) 당 섭취량 변화 : ‘08년 48.0g vs 49.4g, ‘09년 50.5g vs 54.4g, ’10년 59.5g vs 66.2g
또한 당 섭취량이 높은 연령대(만 12세~49세)의 경우 노년층이나 영·유아 등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가공식품 당 섭취량 비중 : 만 5세 이하 약 33%, 만 12세~49세 약 50%, 만 50세~64세 38%, 만 65세 이상 39%
성별에 따른 차이는 ‘10년 남성(63.7g)이 여성(59.1g)보다 당 섭취량이 8%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당 섭취량이 가공식품과 주식으로부터 각각 4.9g, 3g의 당을 더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당 섭취량에 커피가 가장 큰 영향 미치고, 연령대별 기여 식품 달라
우리 국민 당 섭취량에 가장 크게 기여한 가공식품은 커피류(8.9g, 3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음료류(5.8g, 21%) ▲과자 및 빵류(4.2g, 16%) ▲탄산음료(3.7g, 14%) ▲가공우유 등 유제품(2.1g, 8%) 등의 순이었다.
※ 분석 방법 : 가공식품 당 섭취량 내에서의 식품별 기여도(%)를 환산
커피의 경우 만 12세부터 섭취량이 증가하여 만 30세~49세에는 가공식품 당 섭취의 약 46%(13.7g)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령대별로 당 섭취량에 기여하는 가공식품 유형도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만 5세 이하의 경우 주요 당 급원 식품은 ▲음료류(5.1g, 27%) ▲가공우유 등 유제품(4.8g, 26%) ▲과자 및 빵류(4.1g, 22%) 순으로 나타났다. 만 6세~11세 이하의 경우 주요 당 급원 식품은 ▲음료류(6.1g, 25.1%) ▲과자 및 빵류(6.0g, 24.6%) ▲빙과류(4.8g, 19.6%) 순으로 나타났다. 만 12세~18세에 탄산음료 섭취 비중이 많이 증가한 결과, 주요 당 급원 식품으로 탄산음료(8.7g, 25%)가 가장 높았고, ▲과자 및 빵류(8.3g, 24%) ▲음료류(6.5g, 19%)순으로 나타났다. 만 19세~29세의 주요 당 급원 식품은 ▲탄산음료(8.8g, 26%) ▲음료류(8.3g, 24%) ▲커피류(6.5g, 19%)순이었다. 만 30세 이상의 경우 주요 당 급원 식품은 ▲커피류(11.4g, 51%), ▲음료류(4.5g, 19%) ▲과자 및 빵류(2.7g, 11%)로 커피류를 통한 당 섭취가 다른 식품에 비해 훨씬 높았다.
□ 우리 국민의 당 섭취량, WHO 당 섭취 권고량보다 낮아
‘10년 우리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당류 섭취량(과일, 우유 제외)은 WHO(세계보건기구) 당 섭취 권고량의 59%~87%로 높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08년 이후 당 섭취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증가 추세로는 당 섭취량이 높은 연령대인 만 12세~49세의 경우 5년 내에 WHO 권고량을 초과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WHO 당 섭취 권고량 : free sugar로 하루 섭취 열량의 10% 미만(2,000kcal 기준 50g 미만)
※ 1인 1일 평균 당 섭취량(과일/우유 제외) : 32.9g(‘08) → 34.2g(’09) → 41.5g(‘10)
또한 만 6세~18세 초·중·고등학생의 최근 3년간 당 섭취량의 증가 추세는 초·중·고등학생 비만율 증가와 상당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6~18세 당 섭취량(식약청) : 48.7g(‘08)→52.5g(’09)→62.9g(’10)
- 과일, 우유 제외한 당 섭취량 : 29.9g(‘08)→30.7g(’09)→41.1g(’10)
※ 초·중·고등학생 비만율(교과부) : 11.2%(‘08)→13.2%(’09)→14.3%(’10)
식약청은 비만 어린이와 청소년 중 상당수가 성인 비만환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당 과잉 섭취는 당뇨병이나 심혈관계질환 등 성인병 이환율을 높이는 만큼 당을 적게 먹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강조하다고 설명하였다.
※ 당 과잉섭취와 성인병 이환율 증가 관련 참고자료: Lustig, R.H, J. Am. Diet. Assoc. 2010, Robert et al. Nature(2012)
또한, 국민의 당 섭취를 줄이도록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당 저감화 대책을 마련하여 학계, 소비자단체, 산업체 등이 함께 참여하는 당류 저감화 캠페인 등을 추진해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식약청은 영양표시 중 당류를 확인하고 당이 적은 식품을 선택하고, 더운 여름철을 맞이해 갈증 해소를 위해 음료류나 빙과류 등을 자주 섭취하는 것 보다 생수를 마시는 등 단 식품의 과다 섭취에 주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개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및 의약품의 안전에 관한 사무를 맡는 정부 부처로, 1998년 보건복지부 산하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설립돼 2013년 국무총리 산하 독립 기관으로 승격했다. ‘식의약 안심이 일상이 되는 세상’이라는 비전 아래 ‘현장·과학·협력’을 핵심 가치로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fds.go.kr/
연락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정책과
연구관 이우영
043-719-2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