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물 관리 전문가 초청…‘미래 서울의 물 관리 방향’ 논의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는 ‘2012 미래 서울의 물 환경과 삶의 질’ 학술 심포지엄을 30일(수) 오후 2시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2012 미래 서울의 물환경과 삶의 질’ 학술 심포지엄에서는 물의 소중함, 물 관리 방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물로 인한 도시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지금까지 쓸모없이 버려지는 물의 재생과 재이용을 통해 에너지화·자원화하여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나가는 적극적인 물관리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기조발표는 권기욱 서울시 물관리정책관이 ‘서울시의 미래 물 관리 방향’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 배재호 인하대학교 교수가 수자원 관리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으로 ‘서울시 물재생센터의 에너지 자립 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에너지 자립 향상 방안으로 암모니아 가스 활용, 송풍효율 개선, 바이오가스 회수방안 등에 대해 발표한다.

이공인 국립농업과학원 연구원은 기후변화와 식량난에 대비한 작물의 안정적 생산수단의 대안으로 식물공장에 대해 발표한다.

하수처리수를 이용한 식물공장(City Farm)은 도시농장 시스템으로서 물류비 절감, 환경보호, 식량 자급자족, 일자리 창출 등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분야이다.

윤주한 고려대학교 교수는 ‘물 복지 서비스’에 대해 발표한다. 상수도는 사용 대가로 비용을 지불하지만, 하수도는 쓰고 버리는 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아 지금의 하수도 요금정책을 복지적 측면에서 소득 계층간 형평성 문제에 대해 진단하고, 물 환경 보전과 친수서비스 등 전환기의 공익적 서비스로의 물 복지 (Water Welfare) 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박규홍 중앙대학교 교수는 민원이 많은 악취문제 해결을 위해 ‘하수관거 냄새관리를 통한 대기환경 삶의 질의 개선’에 대해 발표한다.

악취발생 원인으로 정화조, 개인오수처리시설 등의 개인하수도의 문제를 지적하면서 해결방안으로 악취발생 위치와 이동경로, 하수관거의 경사 등 시공 상태, 악취저감시설 등에 대한 종합적인 마스터플랜 수립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상영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서울시 홍수위험도 평가 및 활용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홍수 위험지도를 재해관리을 위한 대책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지역주민들이 지역의 잠재적인 홍수위험을 인식하고 대비하는데 꼭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주제발표 후에는 연세대학교 고광백 교수와 환경실천연합회 이경률 회장 등 물 관련 국내 최고 전문가들의 토론도 이어진다.

심포지엄과 관련한 기타 문의사항은 도시안전실 물관리정책과(☎02-2115-7812)로 문의하면 된다.

김병하 도시안전실장은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안전한 물 확보를 위한 다양한 방안과 물 관리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며, 이를 통해 물의 소중함과 미래 서울의 물 관리 방향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도시안전실
물관리정책과
장철민
02-2115-781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