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초소형 기지국 기술 세계가 인정

뉴스 제공
SK텔레콤 코스피 017670
2012-06-28 09:21
서울--(뉴스와이어)--SK텔레콤(총괄사장 하성민, www.sktelecom.com)은 27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스몰 셀 인더스트리 어워드(Small Cell Industry Awards · 이하 SCIA)’에서 SK 텔레콤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데이터 펨토셀‘이 ‘혁신적인 상용화 기술’ 부문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펨토셀(Femtocell) :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 반경보다 훨씬 작은 지역을 커버하는 시스템으로 주파수 부하를 줄이고 통화 품질까지 향상시키는 초소형 기지국을 지칭. 여기서 Femto란 1/1000조를, Cell은 이동통신산업에서 1개 기지국이 담당하는 서비스 구역 최소 단위를 각각 의미한다.

SCIA를 개최하는 ‘스몰 셀 포럼(Small Cell Forum)’은 펨토셀의 전세계 보급을 목표로 설립된 단체로, SK텔레콤을 비롯 보다폰, AT&T, NTT도코모 등 전세계 이동통신사 63곳과 에릭슨, 삼성전자, 화웨이, 씨스코 등 제조업체 70곳이 가입돼 있다. 스몰 셀 포럼은 오직 펨토셀 기술을 중심으로 수상업체를 선정해 해당분야에서 전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SK텔레콤의 이번 수상은 데이터 펨토셀은 물론 LTE 펨토셀, 와이파이(WiFi) 통합형 2FA펨토셀 등을 세계 최초 상용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높은 평가를 증명한 것으로, SK텔레콤과 함께 데이터 펨토셀 기술을 개발한 국내 중소기업인 콘텔라사와 미국의 모뎀 칩 제조사인 마인드스피드사도 수상의 영광을 얻었다.

SK텔레콤의 데이터 펨토셀은 데이터 분산에 특화된 일종의 초소형 기지국으로 소규모 지역에서 집중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 수용을 위해 지난 2010년 11월 상용화된 장비다.

고객들은 데이터 서비스에 최적화된 데이터 펨토셀을 통해 좀 더 안정적인 환경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음성통화도 해당 지역 3G 데이터 트래픽의 안정적 수용에 따라 품질 향상이 가능해졌다.

또한, LTE망 내에 3G 펨토셀을 구축할 경우, 초기 LTE망에서의 음성서비스를 위한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 데이터망인 LTE에서 음성서비스를 위해 3G로 전환하는 기술) 기능이 지원되어야 하는데, SK텔레콤이 세계 최초로 펨토셀에서 CSFB 기능을 구현한 바 있다.

SK 텔레콤 변재완 종합기술원장은 “이번 수상은 고객의 편리한 무선 데이터 사용을 위한 SK텔레콤의 지속적인 노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고객의 편익을 위한 기술 개발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 개요
SK텔레콤은 국내 1위의 무선 통신 서비스회사이다. 유·무선 통신 인프라와 AI 및 ICT 경쟁력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유·무선 통신망을 고도화해 안정적인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고, 구독·메타버스·Digital Infra 등 새로운 영역에서 혁신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ktelecom.com

연락처

SK텔레콤
홍보실
02-6100-3829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