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창조적기업 육성 위해 ‘벤처 컨트롤타워’ 건립
서울시는 벤처 초기기업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벤처창업지원센터>와 맞춤형 입체지원을 펼칠 5개의 권역별 <거점 창업보육센터>를 설치하고 네트워크 구축, 전문가 컨설팅 등을 통해 기술창업 지원기반 구축과 청년실업을 해소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는 ‘창업보육센터 지원 강화 계획’을 18일(수) 발표했다.
서울시는 이번 계획을 통해 서울경제의 신성장동력 기반을 마련하고, 기존의 대학중심 창업보육센터 네트워크를 자치구·연구소·기타 민간창업센터 등으로 확대시키는 동시에, 기술사업화, 경영컨설팅, 마케팅, 홍보 및 판로 지원 등을 통해 총 700여개 창업초기기업에게 실질적인 자립에 도움이 되는 직접적인 지원을 펼칠 계획이다.
<700여개 벤처 초기기업 종합관리, 컨트롤 타워 벤처창업지원센터 설치>
서울시는 등촌동에 위치한 서울신기술창업센터 내에 서울시내 45개 창업보육센터의 700여개 벤처기업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벤처창업지원센터>를 구축해서 7월 현재 본격 운영중이다.
이 <벤처창업지원센터>는 산·학·연·관의 보완적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해 성장기반이 취약한 창업 초기기업에 대한 체계적 지원을 펼친다.
특히 ▴선행기술 및 시장조사 ▴우수기술의 사업화 ▴신제품 론칭을 위한 시제품 제작 ▴국내외 유력 전시·박람회 및 구매상담회를 통한 판로지원 등 생애주기별 제품화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창업초기기업의 생존율 제고를 돕는다.
이외에도 ▴기업경영에 익숙치 않은 창업 초기 기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경영상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경영기술 현장 컨설팅 ▴우수한 지적재산권을 활용한 신사업 발굴을 위한 R&BD 전문닥터 운영 등 기업 경쟁력 강화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한다.
<맞춤형 입체지원+지역내창업보육 책임, 5개 권역별 거점 창업보육센터 선정>
둘째로 서울을 ① 도심 ② 동부 ③ 서부 ④ 남부 ⑤ 북부 등 5개 권역으로 나누고 권역내 창업보육센터를 책임지고 맞춤형 입체지원을 펼칠 <거점창업보육센터(Business Incubator: BI)>를 구축한다.
<거점창업보육센터>는 현재 권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45개 창업보육센터 중 지원역량과 성과가 우수한 센터를 각각 1곳씩 선정했으며 이들 센터는 창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및 지역단위의 벤처 창업 활성화 역할을 맡는다.
권역별 <거점창업보육센터>는 벤처, 이노비즈, IS0 등 기업인증과 CE, 친환경, 녹색 등 제품인증을 지원해 지식기반 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며, 창업초기기업과 벤처창업지원센터를 연결하는 현장 접점으로 기업의 안정적 궤도 진입을 적극 돕는다.
이와 함께 브랜드화, 온·오프라인 마케팅전략, 글로벌화 전략 등 창업초기기업이 취약한 홍보와 마케팅 등도 지원한다.
<서울소재 벤처 산업기술 수준과 경쟁력 향상위한 수출입 전방위 지원>
이외에도 서울소재 벤처기업의 산업기술 수준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우수기술에 대한 수출입 촉진도 지원하는데, 서울시는 국내기술 수출 또는 선진기술 도입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이전 상담, 계약 체결 및 후속 지원 등 전방위 컨설팅도 지원한다.
<고용없는 성장엔 벤처가 답, 신성장동력 기반·서울경제 활성화 해결책 모색>
서울시는 금번 벤처 초기기업과 벤처 창업 지원을 통해 창업 실패로 인한 사회적 매몰비용 발생과 이로 인한 신용불량자 양산 등 2차적 사회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탄탄한 창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강병호 서울시 일자리정책관은 “고용없는 성장이 지속되고 있는 경제적 환경에서 유망 벤처기업 창업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해결책”이라며 “벤처창업지원센터와 거점 창업보육센터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를 확대 구축해 기술창업의 지원기반을 마련하고 서울경제 신성장동력 기반은 물론 서울경제 활성화의 해답도 찾겠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경제진흥실
일자리정책관
이정연
02-3707-9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