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방제청, 제7호 태풍 ‘카눈’ 대처상황 보고(19일 17시)
<특보현황>
- 태풍주의보 : 19일 13시로 모두 해제
- 풍랑주의보 : 동해전해상 ※ 예비특보 : 없음
<기상전망>
낮부터 비는 소강상태이나, 강원도는 늦은 밤까지 계속되는 곳 있겠음
- 예상강수량(19일 24:00까지, ㎜) : 강원북부 10~40 / 경기북부·강원영서중남부·경북북부산간 5~20 / 서울·경기남부·강원영동중남부·충남 이남 5㎜내외
2. 교통통제
- 도로 : 강원 양구 월명고개 낙석 350톤 발생(19일 07시→18시 통행재개예정) 통제, 작업인부 1명 경상
* 서울 양재천로(19일 10시), 청계천 산책로(19일 14시), 경기 김포·시흥 증율로 등 3개도로(19일 11:40) 해제
* 인천 삼산 2고가 등 3개도로(19일 09:40), 제주 산방로(19일 06:55) 해제
- 여객선 : 34개 항로 55척, 항공기 : 정상운항
3. 피해상황(잠정)
- 공공시설 : 가로수 85주(대전 31, 충북 11, 전북 35, 전남 8), 가로등 2주(전주) 전복 ⇒ 조치완료
- 일시정전 12개지역/26,236세대(제주 4/10,382, 전남 7/13,559, 충북 1/2,295)
: 최종 복구시간 : 제주·전남(19일 03시), 충북(19일 06시)
- 선박피해 11척(경기 3, 충남 1, 전북 1, 전남 5, 제주 1) ⇒ 크레인 동원 인양예정
- 주택파손 1동 : 전남 완도 지붕 일부 파손
- 주택일시침수 : 18세대 32명(인천 4/9, 경기 14/23) 구호세트 32세트 지급, 귀가완료
- 노후주택 벽체파손 안전사고 : 사망 1명(경북 상주, 여 83세)
* 기상특보 미발령 시간에 발생한 것으로 정확한 사고원인 조사 중
- 과수낙과피해 : 전남 나주, 경북 김천지역 등 230ha 배·사과 등 낙과피해 발생(피해 정밀조사 중)
4. 주요댐 방류현황
- 댐 수위조절을 위한 방류 : 보성강댐(146㎥/sec↓)
- 북한 황강댐 18일 12시경 일부 방류 실시(하류부 33㎝ 수위 상승)
*경기·연천군에 임진강 수계 행락객 대피 지시(15:20) → 임진강 주변 순찰 강화 및 경보방송 실시, SMS 상황전파 완료, 차량6대 및 야영객 등 57명 대피(연천군)
- 4대강 보 수위는 현재 관리수위 유지, 계획홍수위까지 평균 6.8m 여유(낙단보 2.9m로 최저)
5. 주요 조치상황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대응체계 1단계(7.17, 11:00~), 2단계(7.18, 08:30~) 가동
- 중앙본부장(행안부장관), 중대본 방문 태풍대비태세 점검(7.19, 07:20)
- 중앙본부장, 태풍관련 특별지시(4회, 7.17 07:00, 14:50, 7.18 09:20, 18:40)
- 소방방재청장, 태풍 북상에 따른 상황판단회의 개최(4회, 7.17 09:00, 17:30, 7.18 08:00, 16:00)
- 현장상황관리관 7개 시도(인천, 충남, 전남·북, 경남, 제주 등) 파견·현지지도(7.18 10:00)
- 현장상황관리관 7개 시도(인천, 충남, 전남·북, 경남, 제주 등) 파견·현지지도(7.18 10:00)
- 중앙·지역긴급구조통제단 가동, 펌프차량 등 배수 지원 및 119 구조활동 전개(7.18)
- Safe-on(24회), 재난방송요청(11회), 재난문자(3회), SNS(80회) 등 재난예방 홍보
* ‘KBS’ 중대본 특별방송 실시, ‘뉴시스’ 태풍 대비 국민행동요령 홍보
6. 향후 조치계획
- 태풍 영향권지역 지속 모니터링 및 인명피해 위험지구 등 예찰활동 강화
소방방재청 개요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설립된 국가 재난관리 전담기구이다. 전신은 행정자치부 민방위재난통제본부이다. 조직은 청장, 차장과 재난종합상황실,예방안전국, 소방정책국, 방재관리국, 119구조구급국,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하기관으로 중앙119구조대, 중앙민방위방재교육원, 중앙소방학교가 있다.
웹사이트: http://www.nema.go.kr
연락처
소방방재청
대변인실
02-2100-5140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