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벼 키다리병’ 본논 방제활동 철저 당부

- 벼 키다리병, 출수기 전 방제가 중요

- 올해 본논 관리로 내년 50% 방제 효과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벼 키다리병에 대해 올해 본논에서 병해 관리만 잘한다면 내년에 약 50% 정도의 방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본논 방제활동을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했다.

벼 키다리병은 종자를 통해 전염되며 최근에는 육묘기간 뿐만 아니라 본논에서도 발생해 피해를 주고 있다.

키다리병의 발생은 작년까지 전국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본답발병주율 11 %)를 보였으나, 올해는 종자 소독을 충실히 한 결과 발병률이 4.1 %로 작년에 비해 50 % 정도 감소됐다.

벼 키다리병은 본논에서 일단 병이 나면 다시 회복하기는 어렵지만 이듬해에 볍씨 소독을 철저히 하고 모판 표준 파종량(130g/상자) 등 표준재배법을 준수하면서 기본 약제 방제 활동을 철저히 하면 본논에서 50 % 정도 예방할 수 있다.

벼 키다리병을 방제하기 위한 전용 약제는 아직 없으나 잎집무늬마름병 전문방제 약제가 벼 키다리병균 포자 농도를 줄일 수 있어 키다리병 뿐만 아니라 잎집무늬마름병도 함께 방제가 가능해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농촌진흥청 작물환경과 한성숙 박사는 “벼 키다리병은 개화기에 병원균 포자가 바람에 날려 배유까지 깊숙히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출수 직전에 잎집무늬마름병과 이삭누룩병 등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복합 살균제를 벼 잎집 아래까지 골고루 처리하면 종자감염을 50% 정도 예방할 수 있다”라고 말하며, “병원균 포자는 바람에 멀리까지 날리므로 벼 재배 단지별로 공동방제를 하되 항공 방제보다는 직접 꼼꼼하게 뿌려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작물환경과
한성숙 연구관
031-290-679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