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에틸렌 줄여 ‘복숭아’ 부패 속도 늦춘다

- 신선도 유지 기간 늘어 수출국 확대도 기대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복숭아 수확 후 저장, 유통 시 ‘에틸렌 흡착제’를 사용하면 복숭아의 단단함이 유지되고 부패과 발생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복숭아는 수확 후 물러짐과 동시에 부패가 진행되면서 품질이 빠르게 나빠지는 과실로, 추천되고 있는 5∼8℃의 보관 온도에서도 부패가 진행되기 때문에 장기 저장과 유통에 어려움이 있다.

복숭아가 물러지는 이유는 수확한 후 복숭아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성숙 및 노화호르몬인 에틸렌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복숭아 내부에서 에틸렌이 생성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현재 사과 등에 허용돼 있는 에틸렌 억제제인 1-MCP 처리가 있으나 백도나 황도 등에 적용시 고농도 처리가 필요하며 낮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 1-MCP(1-metylycyclopropene): 강력한 에틸렌 작용억제제

이에 농촌진흥청 과수과에서는 복숭아 주변의 에틸렌 농도를 줄이기 위해 과망간산칼륨(KMnO4)과 제올라이트를 혼합해 만든 에틸렌 흡착제를 이용해 실험을 했다.

* 과망간산칼륨: 에틸렌의 이중결합을 깨뜨려 산화시키는 작용을 함

* 제올라이트: 내부에 수많은 통로 및 구멍을 가지고 있는 규산염 광물로 강력한 흡수 흡착 능력이 있어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작용을 함

수확한 복숭아 5kg을 2 % 유공 폴리에틸렌 0.03mm 필름으로 속포장하고 그 내부에 에틸렌 흡착제를 5g씩 2곳에 넣은 다음 저장했다.

‘천중도백도’를 20℃에 저장했을 때, 저장 6일째 복숭아의 단단함(경도)은 무처리 복숭아에 비해 약 1.7배 정도 높았고, 저장 12일째 부패율은 무처리 복숭아에서 45 %, 에틸렌 흡착제를 넣은 복숭아에서는 31 %로 14 %가 줄었다.

‘장호원황도’를 5℃에 저장했을 때도 에틸렌 흡착제를 넣은 복숭아의 경도는 저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높았고 저장 28일째 부패율(에틸렌 흡착제 처리 23 %, 무처리 40 %)은 17 %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에틸렌 흡착제는 복숭아의 물러지는 속도를 늦춰 단단함을 보다 오래 유지시키고 부패과 발생률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에틸렌 흡착제는 저장 또는 유통 시 저장상자나 포장박스 내부에 쉽게 넣을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 있어 복숭아의 저장과 유통 시 사용한다면 그 유통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농촌진흥청 과수과 조미애 연구사는 “복숭아의 수출국 확대를 위해 장거리 운송이 필수적인데, 이 기술을 적용하면 선박운송, 수출국 현지 유통 기간 동안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과수과
조미애 연구사
031-240-3689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