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희토류 등 희소금속 수입동향
Ⅰ. 총괄
10대 희소금속 중 수입단가 상승 및 수입량 감소세가 동시에 나타난 품목은 전년대비 텅스텐·리튬, 전월대비 망간·크롬·리튬으로 주의관찰이 필요함
○ 수입량 감소폭(%)
- (전월대비) 텅스텐(-35), 망간(-24), 크롬(-21), 리튬(-13) 順
- (전년대비) 텅스텐(-53), 인듐(-34), 희토류(-28), 크롬(-18) 順
○ 수입단가 상승폭(%)
- (전월대비) 리튬(7), 크롬(3), 망간(0.6) 順
- (전년대비) 리튬(12), 텅스텐(11) 順
Ⅱ. 품목별 동향
희토류 : 중국産 전월대비 수입량 136.3% 증가, 수입액 0.4% 감소
(수입량) 중국産 전월대비 136% 증가한 126톤 수입
* 중국産 전월대비 136% 증가 반면 일본産 17% 감소
(수입액) 상위 3개국 모두 전월대비 수입액 하락
* 중국産 0.4%, 일본産 21.6%, 독일産 36% 등 수입액 하락
망간 : 상위 3개국 수입량 수입액 모두 2-30%씩 크게 감소
(수입량) 인도産 전월대비 23.7%↓, 전년대비 40.7%↑
* 전월대비 인도産 23.7%, 우크라이나産 26.6%, 베트남産 36.8% 감소
(수입액) 수입량 감소에 따라 상위 3개국 모두 감소
* 전월대비 우크라이나産 25.3%, 인도産 23.8%, 베트남産 34.4% 감소
몰리브덴 : 미국産 수입량 55.7% 증가, 수입액 31.3% 감소
(수입량) 당월 미국産 466톤 수입, 전월대비 55.7% 증가
* 전월대비 미국産 55.7%, 칠레産 11.1% 증가 반면 중국産 35.5% 감소
(수입액) 미국·중국産 30% 이상 감소한 반면 칠레산 8% 증가
* 전월대비 칠레産 7.9% 증가 반면 중국産 37%, 미국産 31% 하락
코발트 : 중국産 수입량 39.2%·수입액 27.0% 증가
(수입량) 중국産 전월대비 39.2%, 전년대비 104.9% 증가
* 전월대비 중국産 39.2%↑, 벨기에産 24.9%↓, 핀란드産 6.8%↑
(수입액) 중국産 전월대비 27.0%, 전년대비 60.8% 증가
* 전월대비 중국産 27.0%↑, 벨기에産 25.0%↓, 핀란드産 1.1%↑
텅스텐 : 중국·일본産 수입량, 수입액 전월대비 크게 감소
(수입량) 당월 중국産 36톤 수입, 전월대비 25%·전년대비 68% 감소
* 전월대비 중국産 24.8%, 일본産 56.5% 감소
(수입액) 당월 중국産 1,613천불, 일본産 1,532천불 수입
* 전월대비 중국産 29.3% 일본産 48.2% 감소
티타늄 : 호주産 수입량 전월대비 크게 상승, 수입액 일본·미국 順
(수입량) 호주産 당월 7,738톤 수입, 전월대비 453%↑, 전년대비 378%↑
* 전월대비 호주産 453% 증가, 반면 베트남産 16.8% 감소
(수입액) 일본産 8,493천불 수입, 전월대비 5.4%↑, 전년대비 28.6%↓
* 전월대비 일본·미국·호주 수입액 모두 상승
리튬 : 칠레産 전월대비 수입량 15%·수입액 11% 감소
(수입량) 칠레産 1,231톤 수입, 전월대비 15%↓·전년대비 10%↓
* 당월 칠레産 1,231톤, 중국産 75톤, 일본産 3톤 順
(수입액) 칠레産 6,315천불 수입, 전월대비 11%↓·전년대비 3%↑
* 당월 칠레産 6,315천불, 중국産 661천불, 러시아産 111천불 順
마그네슘 : 중국産 98.4%, 전월대비 수입량 38%감소, 수입단가는 2.3% 하락
(수입량) 당월 중국産 903톤 수입
* 중국産 전월대비 73.3% 증가, 전년대비 2.5% 감소
(수입액) 당원 중국産 2,681천불 수입
* 중국産 전월대비 67.3% 증가, 전년대비 10.1% 감소
인듐 : 일본·중국産 수입량, 수입액 모두 감소
(수입량) 당월 미국産 6톤 수입, 전월대비 1515%↑·전년대비 28075%↑
* 전월대비 미국産 1515% 증가 반면 일본産 8.3%, 중국産 51.6% 감소
(수입액) 일본産 1,580천불 수입, 전월대비 2.5%↓·전년대비 1039%↑
* 전월대비 일본産 2.5%·중국産 53.0% 하락 반면 미국産 400% 증가
※ 미국産 인듐함량이 적은 스크랩 수입으로 인한 수입량 급증
크롬 : 남아공産 전월대비 수입량 35.6%·수입액 36.7% 감소
(수입량) 남아공産 17,984톤 수입, 전월대비 36%↓·전년대비 34%↓
* 전월대비 남아공産 35.6% 감소, 인도産 12.1% 감소
(수입액) 남아공産 19,707천불 수입, 전월대비 37%↓·전년대비 36%↓
* 전월대비 남아공産 36.7% 감소, 인도産 8.5% 감소
Ⅲ. 시 사 점
지난 4월 급감했던 중국産 희토류 수입량 2개월 연속 20~30%의 가파른 증가세
희토류 수입량의 50% 내외를 차지하는 세륨화합물은 과거 중국産이 대부분 이었으나, 최근 일본産 수입비중이 급격히 증가하여 지난 2분기 일본産 비중 78.9% 기록
수입량이 감소하고 수입단가가 상승한 품목은 전년대비 텅스텐·리튬, 전월대비 망간·크롬·리튬으로 주의관찰이 요구됨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통관기획과
맹철규 사무관
042-481-7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