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수준의 은 나노 안전관리를 위한 과학적 기반 마련

인천--(뉴스와이어)--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박석순)은 탈취제 및 항균제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은 제조나노물질의 안전성 평가보고서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제출했다고 25일 밝혔다.

※ 1나노(nm) : 10억분의 1미터(10-9m)로 머리카락 굵기의 약 10만분의 1 정도 크기
※ 제조나노물질 : 나노기술을 이용해 제조된 1∼100나노미터 크기의 물질

이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지난 2008년부터 참여하고 있는 ‘OECD 제조나노물질 안전성시험 지원 사업‘의 1단계 사업 결과보고서로 이 사업에서 첫 번째로 가시화된 핵심 성과물이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공동으로 은 나노 물질에 대한 안전성시험 지원 사업을 총괄하는 은 나노 주무국이자 다층벽 탄소나노튜브, 이산화티타늄, 이산화규소, 금 나노의 공동지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은 나노의 시험대상물질은 회원국(한국, 미국) 생산 물질을 대상으로 선정하기로 합의됐다. 우리나라는 국내 주관부서(National Focal Point)인 환경부를 비롯한 지식경제부, 식품의약품안전청, 교육과학기술부, 고용노동부 등 관련부처가 수행한 결과를 종합·작성했다.

※ ‘OECD 제조나노물질 안전성시험 지원 사업‘ : 나노물질 특성 및 독성자료 확보를 통한 나노물질 관리방안 마련을 위해 우선시험대상 물질 13종에 대해 회원국이 분담해 시험을 지원·수행

보고서는 영문으로 제작됐으며 나노물질 정보, 물리화학적 성질, 환경거동, 환경독성, 포유류 독성, 물질안전정보 등으로 구성됐다.

보고서 내용은 지난 6월 25일부터 29일까지 프랑스 파리 OECD 본부에서 개최된 ‘제10차 제조나노물질 작업반 회의’에서 회원국을 대상으로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보고서는 이후 내년 말까지 OECD 회원국 전문가 그룹의 심의를 거치게 되며, OECD 검토가 완료되면 국내의 일반 국민들에게도 보고서 전문을 공개할 예정이다.

제조나노물질의 안전성 평가 보고서는 OECD 심의를 거쳐 2013년 12월에 확정된다.

특히, 이 보고서는 ‘은 나노 물질’에 대해 국제적으로 합의된 안전성 시험자료를 확보함으로써 국제적 수준의 은 나노 안전관리를 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현재 유럽연합,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제조나노물질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번 연구 결과를 국내 기업에서 생산하는 은 나노 물질에 대한 안전성 확보와 규제대응에 활용하며 국민 건강, 생태계 보호 및 국제 규제 대응과 국내 기업 지원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국내외적으로 나노물질 안전성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향후 나노물질로부터 국민 건강과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연구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nier.go.kr

연락처

국립환경과학원
위해성평가연구과
엄익춘 연구관
032-560-716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