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심장병학회재단·미국심장협회, 심장마비 및 불안정성협심증 환자에 대한 Class I 권고 약제에 브릴린타 포함
아스트라제네카의 의료사업 및 전략적 개발 담당(Medical Affairs and Strategic Development) 전무이사이자 글로벌 의료 사업(Global Medical Affairs)담당 부사장인 제임스 퍼거슨(James Ferguson) 박사는 “이번에 개정된 미국심장병학회재단(ACCF)/미국심장협회(AHA) 가이드라인에서 심장학계의 임상 및 의과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브릴린타를 강력하게 권고하고 있다. 이 가이드라인을 통해 다양한 심장마비(NSTEMI) 및 불안정성협심증(UA) 환자치료에 있어 브릴린타의 진가를 인정받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전문가들로 하여금 브릴린타 사용 권고에 합의를 도출해낸 것은 우리의 치료기준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브릴린타와 같은 새로운 약제가 얼마나 빨리 치료기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라고 말했다.
Class I 권고는 미국심장병학회재단(ACCF) 및 미국심장협회(AHA) 가이드라인 권고안 중 최상위급의 권고를 의미한다. 이번 가이드라인에서 초기 침습치료를 선택한 중등 또는 고위험 ST 분절 상승 없는 심근경색(NSTEMI) 및 불안정성협심증(UA) 환자에 있어 PCI 시술 전 아스피린의 병행 치료제로(Level of Evidence, LOE: B), PCI 시술 전 치료를 하지 않았던 환자의 PCI 시술 시 (LOE: B) 사용되어야 하는 권고 약제에 브릴린타가 포함되었다.
또한 가이드라인에서는 초기 비침습치료를 선택한 ST 분절 상승 없는 심근경색(NSTEMI) 및 불안정성협심증(UA)환자의 경우, 입원 후 가능한 빨리 아스피린과 함께 브릴린타를 복용하며 최대 12개월까지 복용하도록 권고했다. (LOE: B)
이 외에도 PCI 수술이 계획된 심근경색(NSTEMI) 및 안정성협심증(UA) 환자에게 P2Y12 수용체 억제 요법으로 사용될 경우, PCI 수술 전 또는 수술 시에 가능한 빨리 브릴린타 180 mg을 부하용량으로 투여하도록 권고 하며(LOE: B), 유지용량으로는 1일 2회 브릴린타 90 mg을 12개월간 복용할 것이 권장되고 있다.(LOE: B)
브릴린타는 지난해 7월 22일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정청으로부터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들의 혈전성 심혈관 사건의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약물로 승인받았다. 현재 러시아, 인도, 중국을 포함한 49개국에서 보건당국의 승인검토를 거치고 있으며, 미국을 포함한 43개국에서 승인을 취득하였다. 초기 용량은 180mg, 이후 유지 용량 90mg씩 1일 2회 투여한다.
브릴린타는 이번 미국심장병학회재단(ACCF) 및 미국심장협회(AHA)의 가이드라인 외에도 유럽심장학회(ESE)에서 지속적인 ST 분절의 상승이 없는 환자들에게 발병하는 급성관상동맥 증후군(ACS)의 관리에 있어서도 1차 권고 약제로 인정받았으며, 캐나다 심혈관학회에서도 가이드라인을 통해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치료제로 브릴린타를 사용하도록 권고 받고 있다.
브릴린타와 관련된 ACCF/AHA 가이드라인 세부 권고사항
□ Class I (1등급)
초기 침습치료를 선택한 중등 또는 고위험 ST 분절 상승 없는 심근경색(NSTEMI) 및 불안정성협심증(UA) 환자들은 증상발현 즉시 2제 항혈소판제 병용요법을 받아야 한다. 치료는 아스피린으로 시작해야 하며 (Level of Evidence (LOE): A), 여기에 다음과 같은 항혈소판제를 병용 치료제로 선택할 수 있다.
PCI 시술 전;
- 클로피도그렐 (LOE: B) 또는
- 티카그렐러(LOE: B) 또는
- IV GP IIb/IIIa 억제제 (LOE: A)
PCI 시술 시;
- 클로피도그렐(PCI 수술 전 치료를 시작하지 않은 경우), (LOE: A) 또는
- 프라수그렐(LOE: B) 또는
- 티카그렐러(LOE: B)
- IV GP IIb/IIIa 억제제(LOE: A)
초기 즉 비침습적 치료와 같은 보수적인 치료를 선택한 ST 분절 상승 없는 심근경색(NSTEMI) 및 불안정성협심증(UA) 환자의 경우에는, 입원 후 가능한 빨리 아스피린 및 항응고요법에 클로피도그렐이나 티카그렐러를 추가하고 최대 12개월간 복용하도록 해야 한다. (LOE: B)
또한 초기에 비침습적 치료를 선택한 ST 분절 상승 없는 심근경색(NSTEMI) 및 불안정성협심증 (UA) 환자에게서 증상이나 허혈이 다시 나타나거나, 심부전, 심각한 부정맥이 생기면 혈관조영술을 시행해야 한다. 혈관조영술(근위부) 시행 전에는 IV GP IIb/IIIa 억제제, 클로피도그렐(부하용량 이후 일일 유지용량 ) 또는 티카그렐러(부하용량 이후 일일 유지용량)를 아스피린에 추가해야 하며, 항응고 치료가 시행되어야 한다.
P2Y12 수용체 억제 요법의 부하용량은 PCI 수술이 계획된 심근경색(NSTEMI) 및 불안정성협심증 (UA) 환자에게 권고되며, 다음과 같은 투약계획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 PCI 수술 전 또는 수술 시에는 가능한 빨리 클로피도그렐 600 mg을 투여한다. (LOE: B)
- 우선 관상동맥 문제를 파악한 후 PCI 수술이 결정 되면 늦어도 PCI 수술 후 1시간 내로 프라수그렐 60 mg을 투여하거나, (LOE: B)
- PCI 수술 전 또는 수술 시에는 가능한 빨리 티카그렐러 180 mg을 투여해야 한다. (LOE: B)
P2Y12 수용체 억제 요법의 지속 기간과 유지 용량은 다음과 같다.
- PCI 수술을 받은 심근경색(NSTEMI) 및 불안정성협심증(UA) 환자의 경우 매일 클로피도그렐 75 mg이나 프라수그렐 10 mg 또는 1일 2회 티카그렐러 90 mg을 적어도 12개월간 복용해야 한다. (LOE: B)
- P2Y12 수용체 억제 요법으로 예상되는 치료 혜택보다 출혈로 인한 사망 위험이 더 크다면 조기 투약 중단을 고려해야 한다. (LOE: C)
□ Class II a (2a 등급)
PCI 수술 후 고용량유지요법 보다 아스피린 81 mg을 매일 복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LOE: B)
급성관상동맥증후군에 대해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은 심근의 혈류 감소로 인해 일어나는 상태를 통칭하는 용어다. 이 같은 상태는 불안정성 협심증(흉통)에서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장마비)까지 해당한다:
· ST-분절 상승 심근경색(STEMI)은 일반적으로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혈전으로 막히는데, 이로 인해 심장마비가 오기도 한다. 그 결과 혈전으로 막힌 관상동맥부터 혈류 공급을 받는 모든 심장 근육에서 괴사가 시작된다.
· 불안정성 협심증과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UA/NSTEMI)은 혈전으로 인해 동맥의 일부만 막히는 것으로 이로 인해 일부가 막힌 동맥으로부터 혈류를 공급받던 심근의 일부만이 괴사 된다. 불안정성 협심증은 급성관상동맥질환의 일종으로 관상동맥의 플라크 파열로 인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불안정성협심증은 플라크가 파열됐을 가능성이 있을 뿐 아니라(심근경색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경고하는 상태), 그로 인해 생기는 증상인 협심증은 점차 심해져 종종 휴식을 취할 때도 발생하며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위험이 크다.
플라토(PLATO) 임상연구에 대해
플라토는 티카그렐러와 아스피린 병용요법과 대조약인 클로피도그렐과 아스피린 병용요법의 심혈관 질환 발생률 감소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하기 위해 43개국에서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환자 1만8천624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대규모 임상연구이다. 플라토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임상적 관리를 반영하고자 기획됐으며, 침습적 시술을 받았거나 혹은 약물 투여 만을 받은 모든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군(STEMI, NSTEMI&UA)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브릴린타에 대하여
티카그렐러(브릴린타)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치료를 위해 개발중인 경구용 항혈소판제다. 티카그렐러는 아데노신 이인산염(ADP) 수용체에 최초로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길항제로 개발된, 새로운 화학적 계열의 경구용 약물이다. 브릴린타는 ADP에 있는 주요 타겟 수용체인 P2Y12를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브릴린타는 CPTPs(cyclo-penthyl-triazolo-pyrimidines)라 불리우는 새로운 화학적 계열의 약물로 클로피도그렐과 프라수그렐 같은 티에노피리딘(thienopyridine) 계 항혈소판제와 화학적 특성이 확연히 구별된다. 브릴린타는 아스트라제네카가 소유한 트레이드 마크이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소개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순환기계, 대사질환, 종양, 소화기계, 호흡기계, 정신신경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우수 의약품을 국내에 소개하여 국민 건강 보호와 의약시장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치료제 ‘브릴린타 정’, 죽상동맥경화증 진행 지연의 적응증이 있는 고지혈증 치료제 ’크레스토 정’, 고혈압 치료제 ‘아타칸 정’, 당뇨병치료제 ‘온글라이자 정’ 등 심혈관 및 대사성 질환 부문에 혁신적인 제품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폐암치료제 ‘이레사 정’, 정신분열병, 양극성장애 및 우울증 치료제 ‘쎄로켈 정’, 위산관련 질환제제인 ‘넥시움 정’과 천식 및 COPD 치료제 ‘심비코트 터부헬러’, 관절염 약 ‘비모보 정’ 등 대표적인 치료제들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암 환자 자녀를 위한 ‘희망샘 기금’,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 예방을 위한 ‘영헬스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며 한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astrazeneca.co.kr
연락처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허재원 과장
02-2188-0868
홍보대행
케이피알앤드어소시에이츠
천동희 AE
02-3406-2291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