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여름철 육계 출하전 전해질 먹이면 스트레스 줄어

- 닭고기 1+ 품질등급 50 % 늘어

수원--(뉴스와이어)--여름철 닭을 수송 중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여름철 폭염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육계 출하시 농가와 육계계열 업체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수송 중 닭의 스트레스로 인한 닭고기 품질저하를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폭염시 농가에서 출하되는 육계의 수송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육계 출하 2일 전에 전해질 제재를 음수에 섞어 먹인 다음 바깥온도가 32℃ 상황에서 닭 수송차량으로 2시간 순회한 다음 도계해 닭고기 품질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음수량은 지하수만 급여한 대조구보다 여러 전해질을 섞어 먹인 처리구에서 6.6 % 증가했고 가슴육이 창백해지고 육질이 나빠지는 PSE(pale soft exudative) 증상도 대조구에 비해 혼합 전해질 급여구에서 36 % 이상 감소했고 닭고기의 1+ 품질등급도 50 % 정도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폭염시 수송과정에서 닭의 스트레스 관련된 생리적 변화에서 코티코스테론(corticosterone)의 함량이 지하수만 급여하는 대조주에 비해 혼합 전해질 급여구에서 29 % 정도 줄어 전해질이 고온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혼합 전해질의 제조와 급여 방법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 1 %, 염화칼륨(KCl) 1 %, 염화나트륨(NaCl) 0.5 %를 물에 섞어 잘 녹인 후 농가에서 닭을 출하하기 2일 전부터 지하수나 수돗물 대신 전해질 수를 먹이면 된다.

육계 계열업체에서도 폭염시 육계 출하에 대비해 닭을 비교적 시원한 밤시간대에 이동하고 수송거리를 최소화하며, 충분하게 물을 먹이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닭고기 소비가 여름철에 집중되기 때문에 폭염이 지속되는 낮시간에도 닭 수송은 피할 수 없다.

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 채현석 연구관은 “닭은 몸 전체가 깃털로 덮여 체온이 41℃에 이르며 특히 피부에 땀샘이 발달되지 않아 오직 입으로만 호흡하다보니 고온에 매우 취약해 닭 수송과정에서 폐사하는 경우가 많다”라며, “출하 전에 전해질 물을 충분히 먹여 탈수로 인한 혈액 내 전해질 불균형을 해소해 수송 중의 고온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고 닭고기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
채현석 연구관
064-754-572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