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전국 기상관측자료 신뢰도, 이상 없다”
- 최근 기온분포에 따른 일부 문제 제기에 대한 논란 일축
기상관측장비는 지역의 대표성 여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주로 시(市) 정도의 지역을 대표하는 관측자료를 생산하는 80개 지역대표 관측소와 그 지역 내에서 더 좁은 지역을 대표하는 469개소의 관측소이다. 모든 관측소에서는 기온, 바람, 강수량, 강수유무가 기본으로 관측되고 있으며, 지역대표 관측소는 기압, 습도, 일조 및 일사 등을 추가적으로 관측하고 있다.
80개의 지역대표 관측소는 넓은 도시 전체를 가능한 대표할 수 있도록 관측 장소 주변에 건물이나 나무 등에 의한 장애를 최소화하여 설치·운영되고 있다. 나머지 469개의 관측소에서는 해당지역의 국지성 특성이 잘 반영되는 위치에 설치·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관측장비의 설치지역이 도심인지 도시 주변인지, 혹은 수변지역인지에 따라 관측값은 주변의 지역대표 관측소와 약간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런 사례는 최근 7월 25일 서울지역 최고기온 분포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최고 4℃ 이상의 기온차를 보이고 있다.
지역대표 관측소에서 생산된 자료는 일기예보를 위한 기본자료, 기후자료 및 민원제공을 위한 자료로 사용되어 그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자료로 인정하고 있다. 나머지 관측소의 관측자료는 주로 위험기상, 도서 및 산악기상 등 국지성 기상을 예측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자동기상관측장비는 야외에서 365일 쉼 없이 운영되고 있어 장비장애 등의 위험에 항시 노출되어 있으나, 기상청은 기상 관측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국의 모든 기상관측장비에 대해 매년 정확도 검사와 상시적인 유지보수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99.8%의 우수한 관측자료 수집률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최고기온이 핫이슈인 요즈음 기온 관측자료에 대한 감시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ma.go.kr
연락처
기상청
관측정책과
과장 허복행
02-2181-0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