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분기 승용차 수출입 동향

대전--(뉴스와이어)--2/4분기 승용차 수출입 동향

Ⅰ. 총 괄

수출 증가폭은 둔화된 반면, 수입이 급증하여 무역수지는 전년도 수준을 유지

수출은 전년대비 3.1%로 소폭 증가한데 비해, 수입은 37% 증가하여 무역수지는 전년과 거의 동일한 수준 유지
- 수출 : 10,846백만불(814천대) 수출, 전년대비 3.1% 증가
- 수입 : 992백만불(34천대) 수입, 전년대비 37.1% 증가
- 수지 : 9,854백만불 흑자, 전년대비 0.6% 증가

국산차 평균 수출가격 상승세 소폭 둔화, 수입차는 하락세 지속

1분기 수입차의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전기 대비 모두 하락한 반면, 국산차 수출가격은 상승세 유지, 수출입 승용차 가격 간 격차 완화세 지속
- 수입차 대비 수출차 가격수준(%) : ’11년 1분기 38.4% → ’12 1분기 43.8% → 2분기 45.2%
- 평균수출단가 ($/대) : ’10년 11,508 → ’11년 13,037 → ’12년 1분기 13,256 → 2분기 13,327
- 평균수입단가($/대) : ’10년 28,941→ ’11년 31,675 → ’12년 1분기 30,254→ 2분기 29,469
- 수출단가는 전년대비 2%↑·전기대비 0.5%↑, 수입단가는 전년대비 3%↓·전기대비 2.6%↓

최대 수출대상국은 미국·호주·러시아로 중대형이 인기, 최대 수입대상국은 독일, 소형 경유차는 프랑스産
- 수출 : 경차는 영국, 소형은 사우디·터키, 중대형은 미국·호주·러시아
- 수입 : 소형·중대형은 대부분 독일産, 소형 경유차는 프랑스産

연료 종류별 수출비중은 휘발유(87.6%)·경유(12.4%), 수입비중은 휘발유(51.9%)·경유(48.1%) [차량대수 기준]

Ⅱ. 용량별 수출입 동향

[수 출]

주력 수출품인 중형 1,500-3,000cc급이 전체 수출 견인, 소형급 경유차 수출 전년대비 229% 급증

경차 (1,000cc이하)수출 전년대비 28.7% 급증, 전 분기에 이어 지속적 상승세
- ’11년 2분기 164백만불 → 금년 2분기 210백만불

소형 1,500cc이하 경유차 수출은 금년 1분기에 전년대비 839% 급증한데 이어, 2분기에도 229% 증가하여 급격한 확대추세를 이어감

2,500cc급 수출실적 대폭 감소, 중형급의 수출확대 추세 다소 둔화
- 1,500-2,500cc급 경유차 수출실적은 전년대비 10.7% 하락한 반면,
- 1,500-3,000cc급 휘발유차는 금년 2분기 7,436백만불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8.7% 상승에 그쳐, 1분기에 비해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모습
- 중형급인 2,500cc초과급 경유차는 전년대비 50% 급감

[수 입]

경유 및 소형차 수입 급증, 중대형 휘발유차량도 두자리수 증가

경차 (1,000cc이하)수출 전년대비 1.2% 증가, 전분기 34% 감소세와 대조적
- ’11년 2분기 132백만불 → 금년 2분기 134백만불 (1.2%↑)

소형차 1,000-1,500cc 휘발유차는 전년대비 26% 감소한데 비해, 1,500cc 경유차의 수입은 폭증(21배↑)

중대형 경유차 수입은 큰 폭 증가한 반면, 휘발유차는 모두 감소세
- 1,500-2,500cc와 2,500cc초과급 용량의 경유차는 전년대비 각각 61.1%, 120.9%씩 큰 폭 증가
- 1,500-3,000cc 용량과 3,000cc초과급 용량의 휘발유차도 전년대비 각각 13.2%와 12.3%의 두자리수 증가세 유지

Ⅲ. 용량별 가격 동향

[수출단가]

경차 및 소형차는 하락세, 중대형급은 소폭 상승세 유지

경차 (1,000cc이하) 대당 수출단가는 전년도 $6,050에서 $5,819으로 약 3.8% 하락

소형차 1,000-1,500cc 휘발유차 대당수출단가는 전년대비 소폭(2.7%) 상승한 반면, 1,500cc 경유차의 수출단가는 대폭(40.5%) 하락

주력 수출품목인 1,500-3,000cc 소폭 상승, 대형급 상승폭 두자리수 기록
- 수출주력품목인 1,500-3,000cc급은 전년대비 3.0% 상승하여 대당 $13,568 수준에 그침
- 2,500cc초과 경유차의 대당 수출단가는 전년 2분기에 대당 $22,576에서 금년 $26,027로 15.3% 상승
- 3,000cc 초과 휘발유차도 전년대비 11.9% 올라 $25,409 기록

[수입단가]

수입차량 가격 전반적 하락세, 경차 수입단가는 상승

경차 (1,000cc이하) 대당 평균수입단가는 전년대비 약 20% 증가
- 대당 평균가격 : ’11년 2분기 $1,976 → 금년 2분기 $2,368

소형 1,000-1,500cc 휘발유차는 전년대비 소폭(3.4%) 하락한데 반해, 1,500cc 경유차의 수입단가는 대폭(37.2%) 하락

중대형급은 전반적 하락세, 중형급 경유차 수입단가는 전년수준 유지
- 중형급인 1,500-2,500cc경유차는 전년수준 유지(0.2%↑), 1,500-3,000cc휘발유차의 전년대비 8.7% 하락
- 2,500cc초과 경유차 대당 평균수입가격은 $41,973로 전년대비 7.3% 하락, 3,000cc초과용량급도 전년대비 4.9% 하락하여 $41,809 기록

Ⅳ. 교역 대상국별 동향

[수출 대상국]

유럽은 경·소형차, 북미·중동은 중대형, 남미는 중대형급 경유차 선호

경차(1,000cc이하)에 대한 유럽의 선호도가 매우 높고, 최대수출대상국은 영국
- 영국(12.5%)·칠레(8.7%)·이탈리아(8.6%)의 順

소형차 1,500cc이하 경유차는 터키 수출비중이 21.3%로 가장 높고, 1,000-1,500cc 휘발유차의 최대수출대상국은 사우디(13.5%)

중대형 승용차는 미국·호주·러시아 등으로 주로 수출
- 1,500-2,500cc 최대수출대상국은 호주(12.8%), 1,500-3,000cc급 최대수출대상국은 미국(32%)
- 2,500cc초과용량 최대수출대상국은 러시아(47.5%)이며, 3,000cc초과 대형급의 경우 對미국 수출이 46.9%로 과반수에 육박

[수입 대상국]

소형은 중국·인도産 수입이 강세, 중대형은 독일産이 대부분

경차 (1,000cc이하)*는 중국産 비중이 29.5% 를 차지함
- 중국(30%)·프랑스(23%)·대만(17%)의 順

소형차 1,500cc이하 경유차는 프랑스産 비중이 9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1,000-1,500cc 휘발유차의 독일産이 56%로 1/2 초과

중대형 승용차는 대부분 독일産이며, 모든 용량별 비중에서 과반수 차지
- 중대형 승용차 수입에서 독일産이 차지하는 비중은 1,500-2,500cc급 (74%), 1,500-3,000cc급(47%), 2,500cc초과(56%), 3,000cc초과(57%)

중대형급 중 독일産을 제외하면 미국·일본·영국産 제품이 인기
- 1,500-2,500cc급 미국産이 2위(8%), 1,500-3,000cc급 미국産 2위(29%), 2,500cc초과급도 미국産 2위(26%), 3,000cc초과급은 일본産 2위(20%)

Ⅴ. 시사점

EU發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금년 1분기에 비해 수출 증가폭이 다소 둔화되고, 수입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는 전년도 흑자 수준을 유지

이는, 최근 국산 승용차의 대형화와 고급화 전략에 힘입어 수출 승용차의 대당 전체 평균가격이 상승하고, 수입차의 평균 가격이 낮아진 결과인 것으로 분석

수입차 대비 국산차의 대당 평균 수출가격 수준(%)*은 전년도 1분기 43%에서 금년 1분기에는 43.8%로 상승, 2분기 들어 45.2%로 더욱 상승
*( ) : 수입 승용차의 평균가격 =100으로 보았을 때, 국산 승용차의 수출가격 수준을 의미함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통관기획과
맹철규 사무관
042-481-790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