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터키 FTA 기본협정 및 상품무역협정 정식 서명식 개최

서울--(뉴스와이어)--박태호 통상교섭본부장은 8.1(수) 터키 앙카라에서 ‘자페르 차을라얀(Zafer ÇAĞLAYAN)’터키 경제부 장관과 한·터키 통상장관회담을 갖고, 동 통상장관회담 계기에 한·터키 자유무역협정 기본협정 및 상품무역협정에 정식 서명할 예정이다.

※ 한·터키 FTA는 2010.3월 협상 출범 선언 이후 총 4차례 공식협상을 개최한 이래, 2012년 3월 한·터키 정상회담(서울 핵안보정상회의 계기)에서 기본협정 및 상품무역협정의 협상 타결을 선언하고 상기 협정 가서명

한·터키 FTA는 우리나라가 9번째로 서명하는 FTA로, 한·터키 FTA가 발효되면 터키는 우리나라가 46번째로 FTA를 체결한 국가가 된다.

※ 우리가 기체결한 FTA(8개, 45개국) : 한·칠레, 한·싱가포르, 한·EFTA(4개국), 한·ASEAN(10개국), 한·인도, 한·미, 한·EU(27개국), 한·페루 FTA

※ 터키는 EU와 관세 동맹 및 EFTA, 이스라엘, 크로아티아 등과 FTA 체결

터키는 ① 유럽 인구 2위(7,370만명)의 거대한 내수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② 최근 유럽 재정위기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등 시장 잠재력이 크며, ③ 유럽, 아시아,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을 연결하는 지정학적 요충지로서, 한·터키 FTA 체결시 터키 시장 진출 확대와 함께 유럽·중동·아프리카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터키 경제성장률 : 2010년 9%, 2011년 7.8%

최근 양국간 교역 및 투자가 확대되는 추세인 바, 한·터키 FTA는 양국간 경제·통상 관계를 강화하는 주요한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제반 분야에서의 협력을 촉진시켜 2012.2월 한·터키 정상회담 계기에 출범한 ‘한·터키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공고히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교역 동향 : 2009년(31억) → 2010년(42.7억) → 2011년(58.9억)
※ 2011년 교역 현황 : 수출 50.8억불, 수입 8.0억불, 무역수지 42.8억불 흑자
※ 총 대터키 투자(9.28억불, 2012 1/4분기 누계기준) 중 2008년 이후 대터키 투자(5.5억불)가 60% 차지

한·터키 FTA는 양국이 혜택을 공유하는 협정인 만큼,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한·터키 FTA 기본협정 및 상품무역협정이 발효될 수 있도록, 정식서명 이후 국회 비준동의 등 발효에 필요한 후속조치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한·터키 FTA 주요 내용을 ‘한·터키 FTA 상세설명자료’ 형태로 외교통상부 FTA 홈페이지(www.fta.go.kr)에 게재하여 한·터키 FTA에 대한 일반의 이해 제고를 도모할 예정이다.

외교부 개요
외교부는 세계 각국과의 외교 관계, UN 등 국제기구에 관한 외교, 대북한 정책, 의전 및 외빈 영접, 양자 및 다자간 조약, 외국과 문화 학술 교류 및 체육협력에 관한 정책, 재외국민의 보호 및 지원 등을 맡는 정부 부처다. 산하에 대사관과 영사관을 두고 있으며, 북핵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신설한 한반도평화교섭본부가 대북정책 관련 업무를 맡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mofa.go.kr

연락처

외교통상부
FTA정책국
FTA정책기획과
02-2100-812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