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보리, 마늘 생산량 조사결과

대전--(뉴스와이어)--2012년 보리, 마늘 생산량 조사결과

1. 보리

보리 생산량은 84,525톤으로 전년보다 24,685톤(22.6%) 감소

보리 재배면적은 21,200ha로 전년보다 7,854ha(27.0%) 감소
- 겉·쌀보리는 농협 수매가격이 동결되고 판로도 불안정하여 청보리 등으로 전환하는 농가가 늘어 재배면적이 감소
- ­다만, 겉보리는 주산지인 전북에서 가공용 계약재배가 늘어나 소폭 증가

※ (‘11)22,060 → (’12)17,452ha(-4,608ha, 20.9%↓)
·겉보리 : (‘11) 4,591 → (’12) 4,750ha(159ha, 3.5%↑)
·쌀보리 : (‘11)17,469 → (’12)12,702ha(-4,767ha, 27.3%↓)

* 보리 수매가격(농협중앙회, 1등품)
·겉보리 : (‘10)28,450 → (’11)27,600 → ('12)27,600원/40kg(동결)
·쌀보리 : (‘10)29,060 → (’11)27,320 → ('12)27,320원/40kg(동결)

맥주보리는 대부분 맥주의 주정 원료로 사용되는데 수입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농협 수매가격 동결로 재배면적이 크게 감소

※ (‘11)6,994 → (’12)3,748ha(-3,246ha, 46.4%↓)

* 맥주보리 수매가격(농협중앙회, 1등품) : (‘10)32,720 → (’11)30,760 → ('12)30,760원/40kg
·'11년 맥주보리 가격(농협중앙회, 1kg) : 국내산(수매가격) 769원, 수입산 355원

10a당 생산량은 399kg으로 전년의 376kg보다 6.1% 증가
- 10a당 생산량은 월동기 냉해피해로 작황이 부진했던 전년보다 증가하였으나, 월동기 한해, 습해 피해로 생육이 부진했던 평년보다는 감소

* 평년 10a당 생산량 : 보리 417kg(겉보리 453, 쌀보리 425, 맥주보리 385)

보리 생산량은 84,525톤으로 전년의 109,210톤보다 22.6% 감소
- 재배면적이 가장 많은 쌀보리 작황이 전년보다 호전되어 10a당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나, 재배면적이 전년보다 크게 감소하여 전체 생산량은 감소

시도별로는 전북이 46,012톤으로 전국 생산량 중 54.4%를 차지하였으며 전남이 22,643톤(26.8%), 경남 8,713톤(10.3%) 순으로 나타남

연도별 생산량 추이를 보면, 재배면적의 지속적인 감소에 따라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금년 생산량은 작년에 이어 최저 수준

2. 마늘

마늘 생산량은 339,113톤으로 전년보다 44,111톤(15.0%) 증가

마늘 재배면적은 28,278ha로 전년보다 4,243ha(17.7%) 증가
- 최근 2년간 마늘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전년 양파 가격 하락에 따라 양파 대신 마늘을 재배하는 농가가 늘어 마늘 재배면적 증가

* 마늘생산량 : (‘10) 272 → (’11) 295 → ('12) 339천톤(44천톤, 15.0%↑)
* 마늘 도매가격(농수산물유통공사, 난지상품 1kg, 연평균)
(‘09) 2,049 → (’10) 4,387 → (‘11) 4,434 → (’12.1∼7월) 4,047원(-387원, 8.7%↓)

* 10a당 소득(농산물생산비조사)
(‘09) 1,202 → (’10) 3,177 → ('11) 3,053천원(-124천원, 3.9%↓)

10a당 생산량은 1,199kg으로 전년의 1,227kg보다 2.3% 감소
- 주산지인 전남, 경남, 제주는 올해 초 냉해 및 4월 잦은 강우로 무름병 등이 발생하였고, 충남과 전북, 경북은 구비대기인 4∼6월 심한 가뭄피해로 생육상태가 원활하지 못하여 단위면적(10a)당 생산량이 전년보다 감소
- 피해발생 표본구역 비율 및 3㎡당 정상포기수는 전년과 비슷하나, 개당 생중량이 전년보다 4.1% 감소

* 피해발생 표본구역 비율 : (‘10) 31.9% → (’11) 35.6% → ('12) 35.9% (0.3%p↑)
* 3㎡당 정상포기수 : (‘10) 112포기 → (’11) 112포기 → (’12) 113포기 (1포기↑)
* 개당 생중량 : (‘10) 47g → (’11) 49g → (’12) 47g (2g, 4.1%↓)

마늘 생산량은 339,113톤으로 전년의 295,002톤보다 15.0% 증가
- 10a당 생산량은 감소하였지만,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하여 생산량이 증가

시도별 마늘 생산량은 전남이 97,383톤(28.7%)으로 가장 많고, 경남 83,981톤(24.8%), 경북 60,079톤(17.7%), 제주 40,557톤(12.0%) 순임

마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2010년부터 계속 증가추세이며, 2012년은 전년보다 재배면적, 생산량 모두 증가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사회통계국 농어업통계과
사무관 김정섭
042.481.2479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