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외교통상부장관, ‘Post-MDG 유엔 고위급 패널’ 위원으로 임명
금번 유엔 사무총장 특별고위급패널은 새천년개발목표(MDGs)* 달성 시한이 3년여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2015년 이후의(post-MDG/post- 2015) 국제사회의 개발 목표와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 새천년개발목표(MDGs)는 2000년 유엔 새천년정상선언을 통해 탄생하였으며 빈곤퇴치 등 2015년까지 국제사회가 달성해야 할 8개의 공동 개발목표를 제시
Post-MDGs는 Rio+20 정상회의에서 제시된 지속가능개발, G-20의 경제성장을 강조한 개발, MDGs의 사회 개발을 아우르는 통합적 목표 설정을 추구할 것으로 전망되며, MDGs를 보완하고 21세기의 경제·사회·환경 등 새로운 도전을 극복하기 위한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반기문 사무총장 2기의 주요 이니셔티브가 될 것이다.
금번 패널에는 전·현직 정부 고위인사, 학계와 기업 대표인사를 포함하여 총 27명의 국제적 저명인사가 임명되었다. 우리나라는 국제적으로 사례를 찾기 힘든 성공적인 개발경험 이외에도 최근 ‘G-20 서울정상회의’와 ‘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 등을 통해 보여준 국제개발 분야에서의 리더쉽을 인정받아 금번 패널에 포함되었다.
* David Cameron 영국 총리, Ellen Johnson Sirleaf 라이베리아 대통령, Susilo B. Yudhoyono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고위급 패널의 공동의장으로 활동 예정
김성환 장관은 특별고위급패널 활동을 통해 우리의 개발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새로운 개발목표와 체제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우리 입장을 적극 반영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국내적으로는 시민사회·학계·경제계 인사 등으로 구성된 ‘post-MDG 프렌즈 그룹’을 중심으로 각계의 개발협력 관련 시각과 비전을 청취하여 이를 post-MDG 체제에 반영해 나가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금번에 임명된 고위급 패널은 잠정적으로 2013년 9월까지 활동하면서 post-MDG 국제개발어젠다에 관한 권고사항 등을 유엔사무총장에게 제출할 계획이다.
외교부 개요
외교부는 세계 각국과의 외교 관계, UN 등 국제기구에 관한 외교, 대북한 정책, 의전 및 외빈 영접, 양자 및 다자간 조약, 외국과 문화 학술 교류 및 체육협력에 관한 정책, 재외국민의 보호 및 지원 등을 맡는 정부 부처다. 산하에 대사관과 영사관을 두고 있으며, 북핵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신설한 한반도평화교섭본부가 대북정책 관련 업무를 맡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mofa.go.kr
연락처
외교통상부
개발협력국
인도지원과
02-2100-8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