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지역 중소기업 지원효과 톡톡

- 자금・기술・수출・판로개척・공장용지 공급지원, 지역경제 버팀목으로

- 2010년 1,084기업…알짜 기업 많고, 좋은 일자리 기대

- 매출 13조 6,522억원 전년대비 34.8% 증가

광주--(뉴스와이어)--유럽재정 위기로 어려움을 겪어 왔던 광주지역 제조업이 최근 생산과 출하가 소폭 증가세로 전환되고 있다. (2012.5월 기준, 전년동월 대비 각각 –7.9% → +2.5%, -5.6% → +4.1% /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광주시가 광주지역 중소기업의 현황과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추진중인 지원시책은 다음과 같다.

(사례1)

광주 첨단과학산업단지내에 소재한 ‘(주)오이솔루션(대표 박용관, 추안구)’은 직원 233명에 지난해 매출액 475억원(그중 수출 257억원) 실적을 올린 광산업 선도업체다. 2004년 직원 7명으로 회사를 설립, 매출 4억원으로 출발해 6년 사이에 120배나 증가 했다. 오이솔루션은 미국 루슨트테크놀러지 벨연구소 핵심연구위원 출신인 박용관 박사와 삼성전자 광사업부 등 광통신분야에서 일해 온 추안구 박사가 설립한 회사로 창업당시에는 사업공간·시설 및 장비가 부족해 옛 광주시 차량등록사업소(북구 본촌동) 공터에 컨테이너 2칸을 임대해 사업을 시작했다.

2005년 광주테크노파크에 입주해 광주시와 지역내 지원기관으로부터 고가의 장비와 자금 등을 지원받아 현재는 국내 1위 세계 20위 권의 광통신 전문기업으로 성장했다. 창업자의 기술력과 노력, 광주시와 지역기관들의 지원으로 이루어낸 성과이다. 오이솔루션은 앞으로 2021년까지 직원수 1,600명 매출액 6,650억원을 목표로 대기업 못지 않은 글로벌기업으로 도약할 청사진을 갖고 있다.

(사례2)

광주 북구 우산동에 소재하고 있는 (주)루미코리아(대표 박주현)는 ‘루미’라는 브랜드로 우의·숄더백 등 잡화류를 생산하는 지역 유망중소기업이다. 2002년 회사를 설립해 꾸준한 매출 신장을 이루어 내고 있으며, 13명의 직원이 지난해 매출액 7억원(수출 4억원)을 달성했다. 회사 주력상품인 패션 토탈백은 미국 등 해외 26개국에 수출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신세계백화점, 롯데백화점 등 유명백화점에 입점해 인기가 높다.

루미코리아는 광주시로부터 경영안정자금과 해외시장개척·국내판매 마케팅 지원을 받은 것이 매출신장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제품개발과 디자인 개발에 힘써 올해 매출액 12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내년도에는 직원을 26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중소기업 현황

광주시의 광업·제조업은 민선5기 들어 크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의 허리하고 할 수 있는 제조업의 종사자수와 매출액이 증가했다.

통계청 조사결과를 분석해 보면 대기업을 제외한 10인 이상 중소기업이 2010년 1,084개로 2009년 1,056개 대비 28개 증가했고, 종사자수는 38,832명으로 전년보다 11.0%(3,854명) 증가했다. 또 매출액은 13조 6,522억원으로 전년보다 대폭 늘어 34.8% 증가했다.

자금지원

기업은 성장단계에 따라 운영자금, 시설보강 자금 또는 창업 자금이 필요하다.

광주지역 올해 중소기업 자금은 광주시에서 4,548억원(자금지원 2,648, 보증지원 1,900) 지원과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재단, 기술보증기금, 한국은행 등에서 정책자금으로 9,448억원을 지원하고, 광주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호남권) 등 지역내 은행권에서 3조 6,680억원이 지원될 전망이다.

광주시에서 지원하는 자금의 종류별 지원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운영자금이 필요한 기업에 대하여는 금융권과 협약자금인 경영안정자금을 기업당 3억원 범위 내에서 지원하고, 2%의 이자를 보전해 주며, 고용우수기업으로 선정되거나 기술개발 및 혁신활동을 통해 기술장을 배출한 기업에 대하여는 지원액을 5억원까지 확대 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2. 시설 보강이나 개수에 자금이 필요한 기업은 구조고도화 자금에서 1개업체당 13억원의 범위 내에서 저리(3.91% 변동금리)로 융자를 해준다.

3. 창업이나 초기 벤처기업에 대해서는 벤처기업육성자금을 5억원 한도내에서 이차보전(2.65%)을 통해 지원한다.

4. 중소유통업자에게는 5억원 한도(시설 3억, 운전 2억)내에서 중소유통구조개선자금, 수출업체에는 3억원 한도내에서 수출진흥자금을 융자 지원한다.

5. 광주신용보증재단을 통해서 소기업· 소상공인에게 업체당 8억원 한도내에서 총 1,900억원 규모의 보증지원을 한다.

6.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후 3년이내 창업초기기업 자금지원을 위하여 광주시, 광주은행, 중소기업청 모태펀드가 참여하여 광주엔젤투자매칭펀드 50억원을 조성한다.

7. 광주연구개발특구내 연구소기업, 첨단기술기업 등 초기기업 자금 지원을 위하여 총 1,250억원 규모의 광주연구개발특구 전용펀드를 조성한다.

※ 광주시 자금 및 보증지원에 대한 사항은 광주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062-955-4045), 광주신보(☏062-950-0011)에 문의하면 된다.

연구개발·기술지원

광주시에서는 기업의 연구개발이나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지역대학 및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자원을 활용하여 공동기술을 개발하는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 ‘기업부설연구소설치지원사업’, ‘연구개발성과 사업화 지원사업’과 ‘지역혁신센터(RIC) 운영지원’, ‘지역연고산업 육성(RIS)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 외에 중소기업청, 광주테크노파크, 광주디자인센터, 한국광기술원, 한국광산업진흥회, 한국금형산업진흥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전자통신연구원(ETRI), 광주과학기술원, 각 대학 등 17개 연구·지원기관 등 통한 중소기업 연구개발 및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인력양성지원

청년 대상 중소기업 인턴경험 등을 통해 취업능력개발과 직업의식을 고취하고 지역산업에 적합한 인적자원개발을 위하여 ‘중소기업 청년인턴, R&D 인턴사업’, ‘지역 맟춤형 일자리 창출 사업’ 등 취업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밖에도 중소기업청, 고용노동부 등 국가기관과 광주상공회의소 등 유관기관과 대학에서 다양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수출·판로지원

지역 유망중소기업 제품의 수출과 판로개척을 위해 지역우수중소기업 제품 홍보, 해외시장 무역사절단 파견, 국내외 전시박람회 참가 지원, 해외 전시박람회 개별 참가 지원,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해외 시장조사 사업, 중소기업 해외지사화 사업, 해외세일즈 출장지원 사업, 중소기업 수출컨설팅지원사업, 외국어 전자카달로그 제작 지원, 무역보증보험료 및 신용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FTA 활용지원센터를 운영하여 FTA 확대에 따라 지역기업이 해외진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광주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등 유관기관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의 해외진출과 판로확대를 위한 지원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공장용지 공급

광주지역에는 조성이 완료된 산업단지가 7개소 2,651만㎡(802만평)이 있다. 하지만 현재 산업단지내 공자용지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에 따라 광주시에서는 진곡산단 등 3개 지구 582만㎡(176만평)을 조성 중에 있다.

첨단산단2단계는 금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99% 진행중이며, 진곡산단은 2014년 준공 예정으로 공사가 진행중이다. 현대모비스는 진곡산단이 준공하기 전에 공장을 가동하기 위하여 3만3천㎡ 면적으로 공사기초파일 공사가 한창 진행중이다.

기타 지원

창업 및 사업전환, 상표 출원, 특허 및 실용신안 출원, 브랜드·디자인 개발, 지식재산권 취득 지원, 기업 세제지원 후견인제 실시, 컨설팅 지원, 장비 지원, 시험분석 지원, 경영지원 서비스, 기업애로해소 등 창업에서 기술개발, 생산, 판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의 기업 활동을 지원한다.

중소기업 지원사업 안내

광주시에서는 관내 37개 중소기업 지원기관·단체 301개 사업을 상세하게 정리해 445쪽 분량의 책자(중소기업 지원사업 매뉴얼)로 제작해 무료 보급하고 있다.

매뉴얼 책자는 광주시 홈페이지(분야별정보-경제-Invest Korea)에서 볼 수 있다.(문의 : 광주광역시 기업지원과 062-613-3871,3)

광주광역시청 개요
광주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윤장현 시장이 시정을 이끌어가고 있다. 더불어 사는 광주, 사람중심 생명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wangju.go.kr

연락처

광주광역시
경제산업국
기업지원과
이영민
062-613-387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