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폭염 지속, ‘사과나무’ 일소 피해예방에 나서야
- 과실이 강한 햇볕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지 배치
일소 피해는 과실 표면이 타들어가는 현상으로 고온과 강한 직사광선이 원인이 되며, 과실이 너무 많이 달려서 가지가 늘어져 강한 광선에 노출되거나 나무의 자람이 약할 때 많이 발생한다. 또한 토양에 물이 부족해 나무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과실은 정상적인 나무에 비해 온도가 높아져 일소 피해가 더 많다.
이러한 일소 피해를 방지하려면 우선 과실이 강한 직사광에 오랫동안 노출되지 않도록 과실이 많이 달린 가지는 늘어지지 않게 버팀목을 받치거나 끈으로 묶어 준다. 혹서기에는 나무에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계획적으로 물을 주고, 잡초가 무성하면 물이 더 부족하므로 잡초는 수시로 베어준다.
일단 일소 피해를 받은 과실은 2차로 탄저병에 감염돼 정상 과실도 썩는 원인이 되므로 피해 과실은 나무 생육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는 따 낸다.
또한 일소 피해가 많은 과수원에서는 미세살수를 이용하거나 탄산칼슘을 뿌리는 적극적인 방법도 있으나 농가 상황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탄산칼슘 40~50배액 또는 카올린(Surround WP) 33~66배액을 남쪽과 서쪽에 있는 과실 위주로 10~15일 간격으로 4~5회 정도 잎에 뿌려주면 일소과 발생을 줄일 수 있으나, 수확할 때까지 칼슘이 씻겨 나가지 않으면 과실에 칼슘이 하얗게 묻어 있을 수 있다.
사과나무 위에 미세살수 장치가 설치돼 있는 사과원은 대기온도가 31±1℃일 때 자동조절장치로 5분동안 물을 뿌리고 1분간 멈추도록 설정해 온도를 낮춰주면 일소과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중간에 물이 부족하면 오히려 일소 피해가 많아질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농촌진흥청 사과시험장 박무용 연구사는 “여름철 강한 햇볕에 의한 일소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과실이 한 가지에 너무 많이 달리지 않도록 하고, 과실에 강한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가지를 배치하며, 계획적인 물관리로 사과나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해야한다.”라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사과시험장
박무용 연구사
054-380-3153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