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사회적경제 현지화’ 강화

- 공감대 확산 및 시군 참여 확대로 현장 실천에 중점

대전--(뉴스와이어)--충남도는 6일 사회적 기업과 마을 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 경제의 저변을 넓히고 활성화하기 위해 ‘사회적경제 현지화(現地化)’ 정책을 역점 추진한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가 시군과 현장에 깊숙이 스며들 수 있도록 공감대를 확산하고 시군 참여 확대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도는 지난달 6일 전국 최초로 ‘충남 사회적경제 육성지원조례’를 마련해 사회적기업뿐만 아니라 마을기업, 자활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했다.

이에 따라 도는 사회적경제의 ‘현장 실천 사례’를 발굴해 확산하고 충남형 사회적기업 성공 모델에 대한 객관적 기준을 설정, 유형별·업종별 성공 모델 제시를 통해 유사 모델 발굴을 유도할 계획이다.

협동과 연대의 대표 사례인 홍성군 홍동 마을을 사회적경제 대표 사례로 부각해 사회적경제 블록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10월에는 사회적경제조직 수기 공모 발표대회를 통해 다양한 사회적경제조직 활동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계획이다.

또한, 사회적경제정책 기획 단계부터 시군 참여를 확대해 정책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사업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사회적경제 관련 자체 중간지원조직을 운영하는 서천군 사례와 자체 교육과정을 개설 운영하는 보령시 사례 등 시군별 우수시책을 발굴·확산하며, ‘충남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교육의 공급 다각화 및 교육 교재 책자 발간 등을 통해 시군과 인식을 함께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감대 확산 및 네트워크 구축 활동도 펼친다. 충남형 사회적기업 성공 모델 프로그램 및 사회적경제 동영상 제작을 비롯해 사회적경제 웹진 발행, 충남넷 홈페이지 배너 설치 등을 추진한다. 또한 사회적경제 조직간 네트워크 및 지역사회의 다양한 조직의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오는 12월 시행되는 협동조합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 8월까지 유형화, 조례 등 활성화 개선과제 발굴, 도·시군·중간지원조직간 지원체계 정립 등을 마무리하고, 9월부터는 집중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협동조합 제도 시행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남궁영 도 경제통상실장은 “순환과 공생의 건강한 지역만들기를 목표로 사회적경제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사회적경제 현지화는 호혜와 연대를 바탕으로 일자리창출 등 따뜻한 나눔을 실천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충청남도청 개요
충청남도청은 210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0년부터 안희정 도지사가 시정을 이끌고 있다. 충남도청의 4대 목표는 출산∙양육을 책임지는 충남,노인이 살기 좋은 충남, 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충남, 일자리가 풍부한 충남을 만드는 일이다. 안희정 도지사는 선심성 공약 남발을 막기 위해 스스로 매니페스토 공약집 발표하고 한국매니페스토운동본부와 함께 공약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chungnam.net

연락처

충청남도청
일자리경제정책과
사회적경제TF
김종수
042-251-269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