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회혁신 스튜디오’서 사회혁신 성과 보고 및 추진 방안 모색
정책과정 투명성 제고 등 서울시 4대 사회혁신 사례 제시
이 날 총괄발표에서 서울시의 사회혁신을 ▴정책과정의 투명성 제고와 실질적 시민참여 ▴사회적 약자가 보호받고 배려받는 제도적 기반 마련 ▴시민 공동체를 통한 사회경제적 문제 해결 ▴인구 구조학적 변화 대응의 4가지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먼저,‘정책과정의 투명성 제고와 실질적 시민참여’의 사례로 주요 이슈에 관한 ‘청책워크숍’, 시장의 ‘트위터 행정’, ‘주민참여예산제’ 등을 소개하고, ‘사회적 약자가 보호받고 배려받는 제도적 기반 마련’의 사례로 희망온돌프로젝트, 공공부문 비정규직 1,133명의 정규직화, 노숙인 권리장전 제정 등을 꼽았다.
또한‘시민 공동체를 통한 사회경제적 문제 해결’의 사례로 육아품앗이, 마을 북카페, 마을기업, 사회기업, 협동조합 등을 제시하였다.
‘인구구조학적 변화에 대한 예방적 대응’을 소개하며, 고령화에 따른 노노케어 확대정책,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소형 임대주택 확충, 다문화가정 확대에 따른 인식개선 프로그램 등의 사례를 들었다.
앞으로 사회혁신을 위한 서울시의 역할 모색
서울시는 사회혁신을 위한 향후 정책방향으로 ▴시민사회 혁신사례 발굴, ▴공공혁신 추진, ▴공유활동 촉진, ▴사회혁신과 일자리 창출의 연계의 네 가지 사회혁신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그동안 시에서 주도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시민사회의 혁신사례를 발굴하고 사업화를 지원함으로써 사회혁신을 촉진하겠다고 하였다. 또한, 부서 간 소통과 협업을 통한 ‘공유행정’, 기획 단계부터 참여하고 시민사회의 전문성을 활용하는 ‘참여행정’, 사회문제의 원인을 해소하는 ‘예방행정’, 최소비용으로 최대효과를 만드는 ‘효율행정’을 통해 공공혁신을 추진할 예정이다. 그리고, 시간, 공간, 인물, 물건, 정보 등을 함께 나누고 도모하는 공유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공유 촉진정책도 추진할 것이다.
특히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혁신도 적극 추진한다.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통해 신규고용 수요를 확대하고, 사회적 배려기업 유통·마케팅 지원을 통해 시장을 확대하여 실질적 지원을 하며, 다양한 분야의 협동조합 설립을 지원하여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유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각 부서의 사회혁신 우수사례 발표에서는 공감사례로 ‘하도급 대금지급 실시간 확인시스템’, ‘범죄예방환경 디자인’, ‘비혼여성을 위한 싱글지존 프로젝트’가 선정되었다.
이 날 사회혁신 스튜디오에 참석한 박원순 시장은 “서울시 공무원들의 열정과 변화를 느낄 수 있어 좋았다”라고 밝히며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추진할 때 시작은 물론, 과정 중에도 힘든 일도 많았겠지만, 시민의 행복과 편안함이 진정한 보상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서울혁신기획관 사회혁신담당관
김정안
02-6361-3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