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안’ 마련 공청회 개최

대전--(뉴스와이어)--문화재청(청장 김 찬)은 오는 17일 오후 2시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 공청회는 먼저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안’에 대하여 연구 용역을 수행한 박희선 (주)팬트랜스넷 책임연구원이 주제발표를 한다. 이어서 김현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좌장을 맡아 토론을 진행하는데, 곽중철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김지명 한국문화유산교육원 원장 등 8명이 토론자로 나선다.

지금까지 문화재 명칭에 대한 통일된 영문표기 기준이 없어 기관마다 다르게 사용함에 따라 문화재에 대한 지식 전달과 교육·홍보, 사이버 공간에서의 정보검색 등에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 2010년부터 관련 학계·종교계·주한 외국인 등과 지속적인 검토 논의를 거쳐 마련한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안’을 공표하고 관계 전문가,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이 자리를 마련했다.

문화재청은 이번 공청회에서 공표한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안’을 30일 동안 문화재청 누리집 등을 통해 공고한다. 각계각층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10월 중에는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그리고 12월 말까지 행정규칙으로 정하여 내년부터 시행에 들어갈 계획이다.

문화재 명칭의 영문표기 기준을 합리적으로 정립하게 되면 우리 문화재를 외국인이 쉽게 찾고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도 절약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문화재청
활용정책과
042-481-474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