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핵심 방재시설로 마곡지구 항구적 수해예방 추진

- 마곡1구역 기존 빗물펌프장 보강설치, 마곡2구역 빗물펌프장 추가 신설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가 주택지구·상업업무지구·공원지구를 포함하는 강서구‘마곡 도시개발사업’구역(3.66㎢)을 비롯한 인근 지역의 항구적 수해예방을 위해 핵심 방재시설 설치를 추진한다.

서울시는 기존에 설치돼 있는 10년 빈도의 마곡1 빗물펌프장을 30년 빈도로 상향 보강하고, 역시 30년 빈도로 마곡2 빗물펌프장도 추가 신설하는 한편, 저류시설도 신설하는 등 이 일대 수해예방체계가 대폭 갖춰진다고 밝혔다.

기존에 마곡지구 및 주변 지역은 ‘98년 공항동 장미마을 일대 400세대, ‘01년 공항동 66번지 일대 126세대, ‘10년 외발산동·공항동·가양동 일대 456세대 등 ‘98년 이후 총 982세대가 침수 피해를 입는 등 다른 지역보다 낮은 지대로 인한 침수피해가 빈번했다.

<마곡지구 3.66㎢의 세 배(10.86㎢)에 달하는 지역까지 빗물 처리 가능해져>

시는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마곡 빗물펌프장 조성공사’를 17일 발주할 계획으로서 ‘12년 11월 초 착공해 마곡 도시개발사업이 완료되는 ’14년 12월 준공할 예정이다. 총공사비는 597억이 투입된다.

시의 계획대로 빗물펌프장 조성공사가 완료되면, 마곡지구 3.66㎢ 의 세 배에 달하는 발산·가양·방화지구 등 주변부 10.86㎢를 포함하는 공간까지 빗물 처리가 가능해져 배수능력이 강화된다.

이번 ‘빗물펌프장 조성공사’는 지역균형발전 도모를 위해 조성중인 마곡 지구의 도시개발에 따른 배수체계 변경과 대규모 미개발지역의 도시화 등 개발 후 영향을 고려해 추진하게 됐다고 시는 배경을 밝혔다.

<10년→30년빈도 상향 적용, 유수지 용량 30만㎥→43만㎥ 추가 확보>

마곡1, 2 빗물펌프장의 유수지 용량은 300,000㎥에서 430,000㎥로 추가로 확보하고, 시설용량은 4,185㎥/min에서 6,680㎥/min로 강화해 재해안전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저류지 시설 신설해 우·오수 분류배제방식으로 최대 13만 톤까지 수용>

마곡2 빗물펌프장은 13만 톤을 수용할 수 있는 저류시설을 신설해 마곡·발산지구 우수를 저류시설로 유입, 한강 외수위가 자연방류 수위 이하일 경우 저류용량만큼 펌프시설을 가동하지 않아도 방류가 가능해졌다.

저류시설은 빗물을 일시적으로 모아 두었다가 비가 그 친후 바깥수위가 낮아진 후에 방류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마곡지구는 하수도처리를 오·우수 분류배제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마곡·발산지구 우수를 저류시설로 유입하고, 오수는 서남물재생센터로 곧바로 유입하도록 설계했다.

<저류지는 생태습지로 조성, 한강 및 공원녹지 연결 순환네트워크로 구축>

특히, 시는 저류지를 도시공원과 어우러진 친환경 공간과 생태습지가 어우러진 ‘자연형 수공간’으로 조성해 기후조절 및 생물종 다양성을 확보하는 기능은 물론 관광객과 여가활동을 즐기려는 사람들의 휴식처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더불어 저류지를 양천길 남측 중앙공원과 한강을 연결해 자전거·보행자 순환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생물서식 공간으로서의 지속가능성도 확보해 강서지역 최대 공원으로 만들어나간다는 계획이다.

남원준 서울시 마곡사업추진단장은 “첨단융·복합단지로 거듭날 마곡지구에 수해방지시설을 대폭 강화함으로써, 마곡지구 뿐만 아니라 주변지역의 침수 피해에 대한 걱정을 덜게 됐다”며, “앞으로도 마곡지구를 포함한 강서지역 일대에 대한 침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해방지대책의 완성도를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마곡사업추진단 마곡사업담당관
02-2171-208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