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7월 고용동향

대전--(뉴스와이어)--2012년 7월 고용동향

1. 15세이상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가. 15세이상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2012년 7월 15세이상인구는 4,162만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4만1천명(1.3%) 증가하였음

경제활동인구는 2,590만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2만8천명(1.7%) 증가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1,506만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4만7천명(1.7%) 증가하였으며, 여자는 1,083만3천명으로 18만1천명(1.7%) 증가하였음

나. 경제활동참가율

경제활동참가율은 62.2%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74.1%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하였고, 여자는 50.9%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하였음
- 연령계층별로 보면 30대, 50대, 60세이상에서 상승하였음

2. 취업자 동향

가. 취업자 및 고용률

2012년 7월 취업자는 2,510만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7만명(1.9%) 증가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1,456만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7만6천명(1.9%) 증가하였고, 여자는 1,053만9천명으로 19만4천명(1.9%) 증가하였음

2012년 7월 고용률은 60.3%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71.6%로 전년동월대비 0.5%p 상승하였고, 여자는 49.5%로 0.2%p 상승하였음

나. 연령계층별 취업자 및 고용률

20대와 30대 취업자는 인구감소(20대 -3만3천명, 30대 -11만2천명)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2만5천명, 7천명 감소하였음
- 인구증감효과*를 제외할 경우 20대 취업자는 6천명 감소, 30대 취업자는 7만4천명 증가
* 인구증감효과 : 고용률이 전년동월과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인구변화에 따라 취업자수 변화가 나타나는 효과(인구효과 = 인구증감 × 전년동월 고용률)

50대, 60세이상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각각 27만5천명, 25만1천명 증가하였음

고용률은 30대, 50대, 60세이상에서 상승하였음

다. 산업별 취업자

산업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0만2천명, 7.6%), 교육서비스업(9만6천명, 5.7%),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8만9천명, 9.3%), 운수업(4만3천명, 3.2%) 등에서 증가한 반면,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1만6천명, -1.6%), 금융및보험업(-1만5천명, -1.7%) 등에서는 감소하였음

라. 직업별 취업자

직업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전문가및관련종사자(14만명, 3.0%), 장치·기계조작및조립종사자(10만1천명, 3.6%), 사무종사자(10만명, 2.5%), 판매종사자(8만8천명, 3.0%) 등은 증가한 반면, 관리자(-5만2천명, -9.8%), 단순노무종사자(-5만명, -1.5%)는 감소하였음

마.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임금근로자는 1,791만1천명으로 24만4천명(1.4%) 증가하였으며, 그 중 상용근로자는 43만5천명(4.1%) 증가한 반면, 임시근로자는 5만6천명(-1.1%), 일용근로자는 13만5천명(-7.5%) 감소하였음
- 비임금근로자는 719만6천명으로 22만7천명(3.3%) 증가하였으며, 그 중 자영업자는 19만6천명(3.5%), 무급가족종사자는 3만1천명(2.4%) 증가하였음

바. 취업시간대별 취업자

취업시간대별 취업자를 살펴보면, 36시간이상 취업자는 2,113만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3만1천명(2.6%) 증가하였고, 36시간미만 취업자는 356만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천명(0.0%) 증가하였음

36시간미만 취업자(356만4천명) 중‘경제적이유(일거리가 없거나 사업부진 등)로 36시간미만 일하였으면서 추가 취업을 희망하는 자’는 37만7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명(5.5%) 증가하였음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전년동월대비 0.3시간 감소한 44.7시간이었음
- 제조업(47.6시간)은 0.4시간, 도소매·숙박음식점업(48.6시간)은 0.2시간 각각 감소하였고, 건설업(42.4시간)은 1.4시간 증가하였음

3. 실업자 동향

가. 실업자 및 실업률

2012년 7월 실업자는 79만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만2천명(-5.0%) 감소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50만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9천명(-5.5%) 감소하였고, 여자는 29만4천명으로 1만3천명(-4.2%) 감소하였음

실업률은 3.1%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3.3%로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하였고, 여자는 2.7%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하였음
- 계절조정 실업률은 3.1%로 전월대비 0.1%p 하락하였음

나. 연령계층, 교육정도별 실업자 및 실업률

연령계층별 전년동월대비 실업자 증감을 살펴보면, 20~24세(6천명, 4.2%), 50대(1만2천명, 11.1%)에서 증가하였고, 그 이외의 연령층에서는 감소하였음
- 실업률은 25~29세, 50대를 제외한 연령층에서 하락하였음

교육정도별 실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대졸이상에서 2만1천명(7.0%) 증가하였고, 중졸이하에서 1만2천명(-10.3%), 고졸에서 5만명(-11.8%) 각각 감소하였음
- 실업률은 대졸이상(0.1%p)에서 상승하였고, 중졸이하(-0.2%p), 고졸(-0.5%p)에서 하락하였음

다. 취업경험 유무별 실업자

실업자를 과거 취업경험 유무에 따라 살펴보면, 취업 무경험 실업자는 4만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2천명(-33.9%) 감소하였고, 취업 유경험 실업자는 75만3천명으로 2만명(-2.6%) 감소하였음

4. 비경제활동인구

가. 성별 비경제활동인구

2012년 7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572만7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1만3천명(0.7%) 증가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528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9천명(0.2%) 증가하였고, 여자는 1,044만7천명으로 10만4천명(1.0%) 증가하였음

나.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인구를 활동상태별로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연로(15만9천명, 9.7%), 가사(14만4천명, 2.5%), 재학·수강 등(1만2천명, 0.3%)에서 증가한 반면, 쉬었음(-9만2천명, -5.9%), 심신장애(-3만6천명, -8.5%), 육아(-1만4천명, -1.0%) 등에서는 감소하였음

취업준비자는 53만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만9천명(-6.8%) 감소하였음

다. 연령계층별‘쉬었음’인구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15~19세와 40대를 제외한 연령층에서 감소하였음

라. 구직단념자

비경제활동인구 중 구직단념자는 20만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만3천명 감소하였음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사회통계국 고용통계과
서기관 빈현준
042-481-2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