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노조 시행이후 2011년 노조조직률 10.1%로 전년대비 0.3%p 증가
고용부는 8월 17일,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하여 지방고용노동관서 등 행정관청이 ‘11년말 기준으로 작성한 노동조합카드를 분석한 결과 이와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고용부가 이날 발표한 ‘2011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에 따르면, 노조조직대상근로자가 286천명(1.7%) 증가하였지만, 조합원수가 전년도(1,643천명)에 비해 약 77천명(4.7%) 늘어, 결과적으로 조직률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11년 조합원수의 증가폭은 ’10년 증가폭(3천명)에 비하여 크게 증가
노조조직률은 1989년(19.8%)을 정점으로, 1997년 ~2001년 12%대, 2002년~2003년 11%, 2004년 이후 10%대로 감소하였고, 2010년 9.8%로 떨어졌다가, 2011년 10%대를 회복하였다.
2011년에 노조조직률과 조합원수가 증가한 것은 복수노조 시행(7.1)의 효과가 일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상급단체별 조직현황은 한국노총 소속 조합원이 768,953명으로 전체 조합원의 44.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다음이 민주노총 562,310명(32.7%), 미가맹 366,746명(21.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노총은 조합원수가 소폭 증가하였고, 민주노총은 소폭 감소하였다.
미가맹노조 조합원수는 32천명(9.7%)이 증가하여, 2000년대 초반부터 나타난 증가세를 계속 이어나가고 있다.
부문별 조직률은 민간부문 8.9%, 교원 18.8%, 공무원 59.0%로 민간에 비해 공무원과 교원의 조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부문 조합원수는 ‘10년 1,378천명에서 ’11년 1,459천명으로 81천명이, 조직률은 8.6%에서 8.9%로 0.3%p 증가하였고 교원노조의 경우 전교조 소속 조합원 수 감소(66천명 →63천명) 등의 요인으로 ‘10년에 비해 조직률이 0.1%p 낮아졌으며,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고용노동부 노사관계법제과 김동욱 사무관(☎ 02-6902-8229)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공무원노조는 ‘10년 조직률 58.0%에서 ’11년에는 59.0%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 개요
고용노동부는 고용정책의 총괄,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평등과 일 가정의 양립 지원, 근로 조건의 기준, 근로자 복지후생, 노사관계의 조정, 노사협력의 증진, 산업안전보건, 산업재해보상보험 등을 관장하는 정부 부처다. 조직은 장관과 차관 아래에 기획조정실, 고용정책실, 통합고용정책국, 노동정책실, 직업능력정책국, 산재예방보상정책국, 공무직기획이 있다. 소속 기관으로는 6개 지방고용노동청, 40개 지청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el.go.kr
연락처
고용노동부
노사관계법제과
02-6902-8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