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올림픽방식으로 포춘 글로벌 500 기업 대상 순위 분석
- 산업 올림픽, 미국 1위, 일본 2위 우리나라는 8위 기록
- 출전 기업 수 절대적 부족·출전 종목 편중
우리나라는 런던올림픽을 성황리에 마치고 종합순위 5위라는 쾌거를 이룩하여 스포츠 강국이라는 인식을 세계에 다시 한번 알렸다. 런던 올림픽에 이어 이번에는 우리 기업들의 세계 경쟁력을 확인하기 위해 포춘 글로벌 500 기업들을 대상으로 포춘이 분류한 47개 업종에 대해 올림픽과 같은 방식으로 순위를 분석해 보았다.
전경련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47개 종목(업종) 중 미국이 24개의 금메달을 차지해 압도적으로 종합 1위를 차지하고 그 뒤를 이어 일본이 2위, 독일 3위, 우리나라는 러시아, 멕시코, 핀란드, 덴마크 등과 함께 종합순위 8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유일하게 삼성전자가 전자 업종에서 1위를 기록해 전자업종에서의 위상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런던 올림픽에 비해 나쁘지 않은 성적이지만 메달 총 수 기준으로 본다면 우리나라는 금메달만 1개로 영국(5개), 이탈리아(3개)에 뒤진 종합순위 12위로 밀려난다.
전경련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에서 대기업으로 불리는 기업들이 해외에서는 500대 기업에 포함되지 못해 사실상 글로벌 대기업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수준이다.”라면서 “우리가 산업올림픽에서 더 많은 메달을 따려면, 현재 글로벌 수준에 있는 우리 기업들이 메달권에 진입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글로벌 1위기업과의 ‘11년 매출액 차이가 평균 2배 이내인 철강 부문의 포스코, 건설·기계(조선)부문의 현대중공업, 자동차·부품 부문의 현대기아자동차는 조만간 메달권 진입을 노려볼만하다. 하지만 우리의 경쟁국인 중국이 금속, 건설·기계(조선), 자동차·부품 등의 업종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우리 기업들이 더욱 경쟁력을 갖추지 않는다면 글로벌 기업으로 살아남기가 어려워 보인다.
둘째, 업종별 기업의 분포가 일부 업종에 편중되고 다양하지 못하다. 우리기업들은 전자, 자동차, 철강, 건설·기계(조선) 등의 제조업과 에너지 부문에 편중되어 있어 우리나라 산업경쟁력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해서는 우리나라가 진출하지 못한 불모지 분야에 대한 육성이 시급하다. 포춘 글로벌 500에 우리 기업이 하나도 포함되지 않은 40여개 업종 가운데 도소매, 제약, 식품판매 등에서 국내 1위기업과 글로벌 1위 기업과의 매출액이 20배에서 많게는 80배까지 차이가 나며 헬스케어 업종의 경우 아직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기업이 존재하지 않는 등 글로벌 기업과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메달 총 수에서 우리나라 순위가 떨어진 원인을 살펴보면 첫째, 글로벌 500대 기업에 포함되어 있는 우리 기업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우리나라는 500개 기업 중 13개 기업만이 포함되는데 그쳐 미국 132개, 중국 73개, 일본 68개, 독일 32개에 비해 현저하게 뒤진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개요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61년 민간경제인들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설립된 순수 민간종합경제단체로서 법적으로는 사단법인의 지위를 갖고 있다. 회원은 제조업, 무역, 금융, 건설등 전국적인 업종별 단체 67개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기업 432개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외자계기업도 포함되어 있다. 설립목적은 자유시장경제의 창달과 건전한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올바른 경제정책을 구현하고 우리경제의 국제화를 촉진하는데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fki.or.kr
연락처
전국경제인연합회
홍보실
조윤석
02-3771-0450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