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5주 매매시황…전국 집값 0.08% 소폭 상승, 수도권도 지방도 움직임 ‘뚝’
- 전국 0.08%, 수도권 0.11%, 광역시 0.01%, 도지역 -0.02%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값은 0.11%, 광역시 0.01%, 도지역 -0.02%등을 기록했다.
[수도권]
서울에서는 동작구 2.08%, 서초구 0.23%, 동대문구 0.16%, 양천구 0.10%, 관악구 0.03% 등의 집값이 올랐다.
한편 서대문구가 -0.29%로 집값 하락폭이 가장 컸다. 이어 송파구 -0.21%, 강서구 -0.20%, 금천구 -0.20%, 강동구 -0.16%, 강남구 -0.15%, 노원구 -0.12%, 마포구 -0.11%, 은평구 -0.11%, 도봉구 -0.10%, 성동구 -0.10%, 영등포구 -0.07%, 강북구 -0.04%, 구로구 -0.04%, 용산구 -0.03%, 중구 -0.02%, 중랑구 -0.02% 등은약세를 이어갔다.
광진구 0.00%, 성북구 0.00%, 종로구 0.00% 등은 보합을 유지했다.
서울 재건축 단지들도 -0.20%로 하락폭이 컸다. 강동구가 -0.38%로 가장 많이 하락했고, 용산구 -0.36%, 송파구 -0.29%, 강남구 -0.15%, 서초구 -0.11%, 영등포구 -0.05% 등 대부분 집값이 하락했다.
경기도에서는 동두천시 -2.62%, 성남시 -0.20%, 안양시 -0.18%, 군포시 -0.16%, 김포시 -0.10%, 파주시 -0.10%, 수원시 -0.08%, 화성시 -0.08%, 광주시 -0.07%, 용인시 -0.07%, 양평군 -0.05%, 의정부시 -0.04%, 광명시 -0.03%, 남양주시 -0.03%, 하남시 -0.03%, 고양시 -0.02%, 부천시 -0.01%, 여주군 -0.01%, 평택시 -0.01% 등은 대부분의 집값이 하락했다.
한편 이천시 0.27%, 오산시 0.02%, 포천시 0.00%, 의왕시 0.00%, 연천군 0.00%, 양주시 0.00%, 안성시 0.00%, 안산시 0.00%, 시흥시 0.00%, 구리시 0.00%, 가평군 0.00% 등은 강보합세를 보였다.
인천에서는 서구 -0.13%, 연수구 -0.12%, 중구 -0.01% 등은 집값이 떨어진 반면, 부평구는 0.02%로 상승세를 나타냈다.
1기 신도시는 일산이 0.01% 소폭 상승한 것을 제외하면 평촌 -0.23%, 분당 -0.22%, 산본 -0.22%, 중동 -0.01% 등으로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5대광역시]
5대 광역시에서는 광주가 0.05%로 상승했고, 대구시 0.00%, 부산시 0.00%, 울산시 0.00% 대전시 -0.01% 등은 약세를 보였다.
광주시에서는 서구가 0.17%로 가장 많이 상승했고, 이어 광산구가 0.10% 집값이 올랐다. 이밖에 남구 0.00%, 동구 0.00%, 북구 0.00% 등은 보합세를 이어갔다.
가장 많이 오른 아파트로는 광산구 수완동 대방노블랜드수완2차 공급 122㎡가 지난주보다 2,750만 원 오른 2억 8,750만 원선으로 시세가 형성됐다. 또 광산구 송정도 라인2차는 950만 원 오른 1억 1,250만 원에 거래가 형성됐다.
부산시에서는 동래구 0.15%, 연제구 0.01%만이 상승장을 보였고, 북구 -0.08%, 해운대구 -0.02%, 남구 -0.01% 등은 약세를 보였다.
가장 많이 오른 아파트로는동래구 센트럴파트하이츠 1단지 공급 198㎡가 5억 1,000만 원 에서 5억 5,055만 원으로 4,055만 원 상승했고, 이어 해운대구 재송동 센터파크더샾 공급 227㎡가 2,500만 원 상승했다.
그 외의 기장군 0.00%, 금정구 0.00%, 강서구 0.00%, 동구 0.00%, 사상구 0.00%, 사하구 0.00%, 서구 0.00%, 수영구 0.00%, 수영구 0.00%, 영도구 0.000%, 중구 0.00% 등 대부분 보합세를 이어갔다.
울산시에서는 남구 0.00%, 동구 0.00%, 북구 0.00%, 울주군 0.00%, 중구 0.00% 등 모든 지역이 보합세를 유지했다.
대구시에서는 동구 0.02%, 달서구 0.02% 등의 집값이 올랐고, 중구는 -0.02% 하락했다. 이어 남구 0.00%, 북구 0.00%, 서구 0.00%, 수성구 0.00% 등은 보합으로 시세변동이 없었다.
대구에서는 달서구 본리동 성당우방 공급 105㎡와 성당보성 105㎡가 지난주보다 각각 750만 원, 500만 원 올라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대전시에서는 서구가 -0.04% 하락했고, 유성구 0.00%, 대덕구 0.00%, 동구 0.00%, 중구 0.00% 등은 보합세를 보였다.
대전시에서는 서구 갈마동 쌍용 102㎡가 1억 4,900만 원으로 지난주보다 500만 원 올라 가장 많이 상승했다.
[도지역]
전국 도지역에서는 전라남도 0.07%, 충청남도 0.02%로 두 지역의 집값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충청북도 -0.13%, 전라북도 -0.06% 등은 집값이 하락했다. 이어 강원도 0.00%, 경상남도 0.00%, 경상북도 0.00%, 제주도 0.00% 등은 보합을 이어갔다.
전라남도에서는 나주시가 2.06%로 집값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화순군 0.89%, 장흥군 0.60%, 광양시 0.11% 등의 순이었다. 이밖에 목포시 0.00%, 무안군 0.00%, 순천시 0.00%, 여수시 0.00%, 영광군 0.00%, 완도군 0.00%, 장성군 0.00%, 장흥군 0.00%, 함평군 0.00%, 해남군 0.00% 등은 보합을 이어갔다.
충청남도에서는 아산시 0.03%, 천안시 0.02%가 상승장을 나타냈다. 이밖에 계룡시 0.00%, 공주군 0.00%, 금산군 0.00%, 논산시 0.00%, 당잔군 0.00%, 보령시 0.00%, 부여군 0.00%, 서산시 0.00%, 연기군 0.00%, 청양군 0.00%, 홍성군 0.00% 등은 집값 변동이 없었다.
전라북도는 정읍시가 0.29%, 군산시 0.27%, 익산시가 0.18% 올랐고, 전주시는 -0.25% 하락했다. 충청북도도 청주시가 -0.19% 하락한 것을 제외하면 집값 변동이 없었다.
이밖에 강원도, 제주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등은 집값의 변동이 없었다.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장재현 팀장
02-2185-7341(직)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