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황창규사장 美 MIT大 特講
- 향후 IT시장은 모바일 및 디지털가전 시장이 주도
- 나노기술 활용 반도체 상용화 본격 진행 중
- 시스템LSI 사업 일류화로 반도체 토털 솔루션 제공
- "메모리 신성장론" 입증, 집적도 4년 연속 2배씩 증가
□ 美 최상위 공과대학에서 "반도체 한국" 위상 과시
□ 모교인 메사추세츠大에서는 "최우수 동문상" 수상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황창규 사장이 첨단기술의 상징인 美 MIT大에서 "반도체 한국"의 위상을 과시했다.
황창규 사장은 16日 MIT大(메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 공과대생·연구원·교수·IT 업계 관계자·在美 과학자 등 400여명을 대상으로『미래 IT시대의 반도체 역할』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했다.
MIT 대학은 57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140년 전통의 미국 최고 명문대학 중 하나로, 특히 공과대학은 'US News & World Report'에 의해 美 공과대학 부문에서 16년 연속 1위로
선정된 첨단기술의 산실이다.
2002년 영국 캠브리지大, 지난해 미국 스탠포드大에 이어, 올해 MIT大에서도 강연하며, 황창규 사장은 세계 과학기술을 이끄는 최고명문대학에서 "반도체 한국"의 앞선 기술력 및 위상을 전파했다.
이 날 강연에서 황창규 사장은 모바일과 디지털가전 제품 수요의 성장은 이미 시작되었으며, 앞으로도 이 추세는 더욱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황사장은 "지난 20여 년간 IT시장을 이끌어 오던 PC의 성장이 둔화되면서, 휴대폰·MP3·디지털카메라·USB 등 모바일 및 디지털가전 제품이 IT 시장을 주도해 나가고 있다"며 "휴대폰
카메라폰·캠코더폰·뮤직폰·게임폰 등으로 다기능化·슬림化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3세대 휴대폰이 본격화되는 2005년부터 모바일向 반도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02년에 PC向 메모리 소요용량이 휴대폰向 메모리 소요용량의 9배에 이르렀으나, 2007년에 1.6배 정도로 격차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IT 시장의 모바일化 추세를 잘 설명하고 있다.
황사장은 2002년 2월 국제반도체회로학술회의(ISSCC) 총회 기조연설, 11월 영국 케임브리지大 강연, 지난해 10월 스탠포드大 강연, 올 3월 대만에서 개최된 "삼성 모바일 솔루션 포럼" 등 해외 주요기관과 포럼에서의 강연과 지난해 9월 닛케이 전자(Nikkei Electronics)초청 논문, 11월 "Proceedings of the IEEE" 논문 등에서 "무어의 법칙"에 대응하는 "메모리 신성장론"을 일관되게 주장, 세계 반도체업계에서 "한국 반도체산업의 전도사"로 각인되어 왔다.
"메모리 신성장론"은 실제로 삼성전자가 지난 1999년 256Mb 낸드플래시 개발을 필두로, 지난해 4Gb 낸드플래시 개발까지 4년 연속 집적도 2배 증가를 입증하며 업계와 학계에서 이미 정설로 인정받고 있다.
이번 특강에서 황사장은
△ 지난해 세계 최초로 개발한 70나노 4Gb 낸드플래시·80나노 512Mb D램 등 "메모리 신성장론"의 근간을 이루는 나노 관련 최첨단 기술
△ 세계최소 셀 크기(0.46㎛2) S램, 데이터 입출력이 동시에 가능한 기술 등의 반도체설계 및 공정 신기술
△ 6칩 적층 MCP(, 원낸드(OneNAND) 등의 현황 및 전망
△ 533MHz 모바일 프로세서, 130만 화소 이미지센서(CIS)
△ TFT-LCD·STN-LCD·유기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구동칩 등 삼성전자의 우수한 기술력·제품력을 알렸다.
황사장은 삼성전자의 메모리사업이 '차별화 D램' 및 '고기능 플래시' 중심의 現 사업구조를 바탕으로, 향후 더욱 다양화된 신물질 및 신기술을 활용, 모바일 시대에 대비한 토털 솔루션을 갖춘 세계 유일의 반도체 업체를 지향하고 있음도 시사했다.
또한, 아직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비메모리도 나노기술을 바탕으로 3~4년내에 세계 정상급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강연후 황사장은 토마스 매그난티(Thomas Magnanti) MIT공대 학장, 라펠 리프(Rafael Rief) 교수, 디미트리 안토니아디스 (Dimitri Antoniadis) 교수 등과 별도의 면담을 갖고, 나노기술을 비롯한 반도체 공정기술 분야에 있어 삼성전자와 MIT 공대와의 산학협력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이번 황사장의 강연을 통해 삼성전자는 MIT 라는 미국 최첨단 기술의 산실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반도체 기술을 선보임은 물론, 반도체 미래시장에 대한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의 반도체 업계는 물론, 과학기술계 전체의 위상을 드높였다.
한편, MIT 특강에 앞서 황사장은 보스턴 소재 메사추세츠 州청사에서 모교인 메사추세츠 대학(University of Massachusetts)이 수여하는 "최우수 동문상"(UMass Distinguished Alumni Award)"을 수상하고 특별강연도 했다.
이 상은 매년 각 단과대학 졸업생 중 각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사람을 1명씩 선정, 시상하며 대부분의 역대 수상자가 60~70대의 원로급 인사였다.
황사장은 세계 반도체 업계에서의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아 한국인으로는 물론, 50대로서도 최초로 이 상을 수상하게 됐다.
이 날 메사추세츠 대학에서는 대학 합창단의 '아리랑 합창' 등의 다양한 행사가 함께 진행돼, 한국 반도체 산업과 과학기술의 위상을 반영했다.
삼성전자 개요
삼성전자는 반도체, 통신, 디지털 미디어와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리더다. 삼성전자는 디지털 어플라이언스 부문, 디지털 미디어 부분, LCD 부분, 반도체 부분, 통신 네트워크 부분 등 5개 부문으로 이뤄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인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디지털 TV, 메모리 반도체, OLED, TFT-LCD 분야에서 세계 선두 주자다.
웹사이트: http://www.samsung.com/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