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사물통신(M2M) 핵심기술 협력사에 무상 개방

- 원격단말기 진단·무선업그레이드 기술·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등 SK텔레콤이 다년간 개발해온 M2M 핵심기술 공개

- 구축비용 최대 30%·개발시간 최대 50%·운영비 절감 등 협력사 지원효과 기대

- 향후 클라우드·빅데이터·그린IT 기반 핵심기술도 연구·개방할 방침

뉴스 제공
SK텔레콤 코스피 017670
2012-09-19 09:33
서울--(뉴스와이어)--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하성민, www.sktelecom.com)은 국내 사물통신(M2M) 시장을 확대하고, 동반성장 기반을 다지기 위해 자사가 개발해온 M2M핵심기술을 관련 협력사에 19일부터 무상으로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19일 오전 10시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SK텔레콤 분당사옥에서 협력사 관계자를 대상으로 ‘개방형 M2M플랫폼 설명회’ 개최하고, 기술 설명 및 프로그램 시연 등을 진행했다.

SK텔레콤이 이번에 개방하는 M2M 기술은 ▲원격으로 단말기를 진단하는 기술 ▲무선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기술(FOTA) ▲실시간 M2M 상태 모니터링 기능 ▲이상여부 즉시보고 기술 등 사물통신을 한 단계 진보시킬 수 있는 핵심기술이다.

SK텔레콤은 전기, 가스, 기계, 도로 등 다양한 M2M 분야에 다년간 이동통신망을 제공하며 쌓아온 노하우와 M2M 단말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기술을 연구해왔고, 이를 ‘개방형 M2M 플랫폼’으로 개량하여 협력사에 공개하게 됐다.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및 오픈API로 핵심기술 개방

SK텔레콤이 개발한 M2M 핵심기술을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기반으로 협력사에 제공하게됨에 따라 단말기 제조사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사 등은 M2M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보다 쉽게 개발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단말기 제조사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사는 기존 대비 ▲M2M 서비스 구축비용을 최대 30%, 개발기간을 최대 50% 가량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SMS, LBS(위치정보 서비스) 등 SK텔레콤의 부가서비스를 오픈API기반으로 제공해, 해당 기능을 활용한 M2M 서비스 확대도 예상된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서비스를 원격검침, 전자발찌 등 위치관제 기기에 적용하면 해당 기기 불량 및 지역 이탈 등을 관제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기기의 원격제어도 가능해진다.

원격 모니터링 · 무선업그레이드 기술로 유지보수 시간·비용 절약

아울러 개방형 M2M 플랫폼은 M2M 전용서버를 통해 전국 곳곳에 설치돼 있는 M2M 단말이 측정한 데이터 및 상태정보를 원격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수집/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FOTA(Firmware Over The Air; 무선 펌웨어 업그레이드) 글로벌 선두업체인 ‘레드벤드소프트웨어’의 기술을 국내 최초로 적용해, M2M단말기의 소프트웨어를 원격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활용하면, M2M 운영업체는 수시로 현장에 나가 단말기 이상유무를 체크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굴뚝 관리, 댐 수위 관리 등 사람이 직접 관리하기 어려웠던 M2M 단말을 관리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협력사를 위한 인터넷 포털 무료로 제공…협력사 글로벌 진출 지원

SK텔레콤은 M2M 단말 관리·실시간 모니터링 등 서비스 운영을 위한 포털 시스템도 19일부터 협력사에 무료로 제공한다. 협력사는 이 포털사이트를 통해 SK텔레콤이 보유한 각종 M2M의 다양한 통계와 기술을 지원 받을 수 있다.

또한, SK텔레콤은 협력사가 이 플랫폼을 통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단말기를 세계로 수출할 수 있도록 ‘개방형 M2M 플랫폼’에 ETSI 국제표준*을 적용해 개발했다. 해외진출을 원하는 협력사에게 자금지원, 컨설팅 등 각종지원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 ETSI :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

향후 SK텔레콤은 클라우드·빅데이터 기반 M2M 기술도 개발해 협력사에 공개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기상정보, 에너지사용정보, 헬스분야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형화된 패턴을 도출하고 이를 M2M 기기 개발에 활용 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CCTV, 블랙박스, MRI/CT 등 음성/영상 등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클라우드 기술과 M2M 기기의 소모 전력량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저전력 전송기술도 조만간 개발을 완료하고 협력사에 공개할 예정이다.

SK텔레콤 박인식 기업사업부문장은 “현재 약 100여개의 협력사가 80여 만 개 단말을 통해 M2M서비스를 제공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각종 산업기기를 작동하는 중추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핵심기술 개방을 통해 중견 M2M 업체를 육성하고, 국내 기술을 해외로 수출할 수 있는 활로를 열어줄 것”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 개요
SK텔레콤은 국내 1위의 무선 통신 서비스회사이다. 유·무선 통신 인프라와 AI 및 ICT 경쟁력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유·무선 통신망을 고도화해 안정적인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고, 구독·메타버스·Digital Infra 등 새로운 영역에서 혁신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ktelecom.com

연락처

SK텔레콤
홍보실
02-6100-382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