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기준 경제총조사 결과로 본 지역별 사업체 현황 및 특성

대전--(뉴스와이어)--Ⅰ. 지역별 사업체 현황 및 특성

지역별로 볼 때 사업체수, 종사자수 및 매출액이 가장 많은 시도는 서울특별시이고, 가장 적은 시도는 제주특별자치도임

전체 사업체수 335만 5천개 중 서울특별시가 73만개(21.7%)로 가장 많고, 경기도(68만 7천개, 20.5%), 부산광역시(26만개, 7.7%) 순임

전체 종사자수 1,764만 7천명 중 서울특별시가 448만 7천명(25.4%)으로 가장 많고, 경기도 374만 9천명(21.2%), 부산광역시 120만 5천명(6.8%) 순임

- 사업체당 평균 종사자수는 서울특별시와 울산광역시가 6.1명으로 가장 많음

전체 연간매출액 4,332조 2,930억원 중 서울특별시가 1,365조 7,910억원(31.5%)으로 가장 많고, 경기도 805조 9,480억원(18.6%), 경상남도 267조 8,980억원(6.2%) 순임

- 사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울산광역시가 31억 3천 3백만원으로 가장 많고, 서울특별시 18억 7천 2백만원, 충청남도 17억 8천 1백만원 순임

인구 천명당 사업체수는 제주특별자치도가 86.7개로 가장 많고, 인구 1명당 매출액은 울산광역시가 2억 7백만원으로 가장 많음

인구 천명당 사업체수는 제주특별자치도가 86.7개로 가장 많고, 강원도 80.8개, 부산광역시 76.6개 등의 순임

인구 1명당 매출액은 울산광역시가 2억 7백만원으로 가장 많고, 서울특별시 1억 4천 2백만원, 충청남도 1억 2천만원 등의 순임

산업세분류별로 볼 때 사업체가 가장 많은 업종은 일반 음식점업이고, 매출액이 가장 많은 업종은 일반은행임

산업세분류별로 볼 때 사업체가 가장 많은 업종은 일반 음식점업이고 다음이 부정기 여객 육상 운송업, 화물자동차 운송업 순임

- 모든 시도에서 1위 업종은 일반 음식점업임
-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는 부정기 여객 육상 운송업과 주점업이 2~3위를 차지함
- 강원도는 관광숙박시설 운영업이 2위, 주점업이 3위를 차지하여 1~3위 업종이 모두 숙박 및 음식점업임

산업세분류별로 볼 때 매출액이 가장 많은 업종은 일반은행이고 원유 정제처리업, 주거용 건물 건설업 순임

- 지역별 1위 업종을 보면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강원도는 일반은행이고, 광주광역시와 전라북도는 자동차 제조업, 울산광역시와 전라남도는 원유 정제처리업임

여성대표자 사업체 비중이 가장 높은 시도는 울산광역시로 44.0%이고, 여성종사자 비중이 가장 높은 시도는 제주특별자치도로 46.6%임

여성대표자 사업체 비중이 가장 높은 시도는 울산광역시(44.0%)이고 강원도와 제주특별자치도(42.3%) 순임

여성종사자 비중이 가장 높은 시도는 제주특별자치도(46.6%)이고 부산광역시(43.7%), 강원도(43.6%) 순임

- 전 사업체의 평균 종사자수는 5.3명이고, 여성대표자 사업체의 평균 종사자수는 2.9명임

4개 주요 업종별 지역별 사업체 현황 및 특성

<제조업>

산업중분류별로 제조업 매출액을 볼 때 가장 매출액이 높은 업종은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고, 다음이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차 금속 제조업 순임

- 지역별로 볼 때 경기도가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과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매출(출하)액에서 각각 39.0%, 22.8%를 차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차 금속 제조업은 경상북도(25.5%)가 가장 높게 나타남

<도매 및 소매업>

전국의 도매 및 소매업 사업체는 87만 7천개로 서울특별시가 21만개로 가장 많고, 경기도 15만 8천개, 부산광역시 7만 5천개 순임

- 도매 및 소매업 사업체의 평균 존속기간은 8년 6개월로, 전라남도가 11년 7개월로 가장 길고, 경기도는 6년 8개월로 가장 짧음

<숙박 및 음식점업>

음식점업 프랜차이즈 가입률이 가장 높은 시도는 경기도 18.7%이며, 가장 낮은 시도는 제주특별자치도로 8.7%임

주점 및 비알콜 음료점업 프랜차이즈 가입률이 가장 높은 시도는 광주광역시로 18.7%이며, 가장 낮은 시도는 부산광역시로 6.0%임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이용 및 미용업 전체 종사자 중 자영업자 및 무급가족 종사자 비중이 70.4%이고, 임시 및 일용 근로자 14.2%, 상용근로자 13.4%, 기타 종사자가 2.0%임

- 자영업자 및 무급가족 종사자 비중이 가장 높은 시도는 전라남도(86.3%)이며, 상용근로자 비중이 가장 높은 시도는 서울특별시(22.7%)임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조사관리국 경제총조사과
042-481-3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