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맞춤형 ‘FTA활용 비즈니스 모델’ 개발·보급

- ‘FTA활용 성공기업 DNA로 본 비즈니스 모델 40선’ 발간

대전--(뉴스와이어)--관세청(청장 주영섭)은 EU 및 미국 등 거대경제권과의 본격적인 FTA발효에 따라 기업의 FTA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FTA성공기업 사례를 유형별로 분류, 성공요인을 적용한 맞춤형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여 보급한다고 밝힘

총 40개로 구성된 비즈니스모델은 원산지특례기준 등을 적용한 15개의 협정규정 활용형, 해외투자 등의 유치를 위한 14개 종합형, 농수산 가공식품 등을 위한 5개의 산업특화형과 영세기업 성장 등을 위한 6개의 규모특화형으로 구성됨

동 모델은 FTA활용혜택이 큰 자동차 부품, 섬유제품 뿐 만 아니라 농수산 가공품, 소재산업 등 다양한 업종과 산업에 적용가능 하며, 구체적인 FTA활용방안과 함께 실제 기업사례도 포함하고 있어 FTA 초보기업도 쉽게 이용이 가능

화학업계에 연간 460억원의 관세절감 효과를 발생시키는 공정기준모델, 고관세(17.6%)가 철폐되는 섬유제품 FTA 활용모델, 연간 10억원의 원가가 절감되는 김·김치 등의 농수산가공식품 모델 등 다양한 모델이 포함됨

이번 개발된 비즈니스모델은 對美 수출기업 ‘타겟팅 지원’ 대상 기업* 등에 대한 컨설팅·교육시 집중 활용되며, 산업별 협회 등에도 제공될 예정임

* FTA혜택이 상당한 품목을 미국에 수출한 기업 중 FTA 未활용기업

동 모델은 책자로 발간·배포하고, FTA포털(http://fta.customs.go.kr) 등에도 게시하여 기업 누구나 활용이 가능

관세청은 지속적으로 FTA활용 성공기업 사례를 수집, 비즈니스 모델화하여 확대 보급하고, FTA가 수출증대, 경제성장 및 일자리창출의 선순환 구조로 이어질 수 있도록 우리 기업의 FTA활용 제고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것임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FTA집행기획담당관실
사무관 이영달
042-481-3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