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대 최동수 교수, 기후변화 대응 신품종 벼 개발 가능성 열어

- 아열대벼 부도에서 기후 온난화 대응유전자 발견

군산--(뉴스와이어)--군산대학교 생물학과 최동수 교수가 아열대 벼인 부도의 유전자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용유전자가 다수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충북대 이이교수와 함께 농촌진흥청의 지원을 받아 진행한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도의 유용 유전자를 우리나라 벼에 도입하면 기후 온난화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신품종 벼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최 교수는 인디카 계열인 아열대 벼 부도(浮滔)와 자포니카 계열인 우리나라 벼의 유전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아열대 벼인 부도가 자포니카 계열 벼에 존재하지 않는 유용 유전자를 다수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부도는 우기에 벼 마디가 빨리 자라 물 위로 잎이 올라와서 이삭을 맺는 데 지장을 받지 않는 아열대성 벼로 연구 결과 침수에도 생존할 수 있는 침수 저항성 유전자인 ‘Sub1A’와 마디 성장을 촉진시켜 벼가 물에 잠기지 않게 하는 침수 회피성 유전자인 ‘Snorkel1’, ‘Snorkel2’ 등 침수 적응성 유전자 3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외에도 ‘Hd3a’ 등 벼의 이삭이 나오는 출수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개화 유전자 10종과 수확 전 이삭에서 싹이 트는 수발아를 억제할 수 있는 유전자도 가지고 있고, 이들 유용 유전자를 우리나라 벼에 도입할 경우 지구온난화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쌀 생산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에 대해 최 교수는 “기후 온난화로 가까운 시일 내에 우리나라 전역이 아열대화하여 국지성 호우와 수확기의 고온지속현상 등을 유발함으로써 벼농사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에 대비하여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재배 조건에 최적화되어 있는 부도의 특징을 우리나라의 고품질, 고생산성 벼에 도입하여 새로운 벼 품종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기후 변화에도 고품질 쌀의 안정된 생산이 가능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벼에는 없는 아열대 기후 적응성 유전자를 확보함으로써 장차 기후변화 적응 벼 품종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에 의미가 크다고 평가받고 있다.

군산대학교 개요
군산대학교는 지역밀착형 산학협력 핵심대학이다. 군산대학교의 미래비전은 특성화와 산학협력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새만금과 함께 세계로 나아가는 지역 제일의 특성화대학”이라는 슬로건 아래 ‘지역사회 성장을 견인하는 대학’, ‘지역을 중심으로 세계로 뻗어가는 강한 대학’을 목표로, △기계/자동차/조선 △ 해양바이오 △신재생에너지 △ICT융합 △군산·새만금 지역학 등 다섯 개 분야를 특성화 분야로 정해, 군산대만의 특화된 선순환형 산학협력 핵심모델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unsan.ac.kr

연락처

군산대학교
대외협력과
이인순
063-469-4142~3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