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中國통신연구소, 최고급 인력 키운다
- 모토롤라, 마이크로 소프트 이어 세번째로 中國정부로부터 인증획득
- 최고급 인재확보, 국책과제 참여, 기업 이미지 제고 효과
- 28일 북경 인민대회당에서 설립기념식 및 中國 대학과 협력 체결
최고급 '휴대폰' 會社에서 人材育成 搖藍으로....
삼성전자 중국통신연구소가 중국 국가 인사부에서 공식 발급하는 박사후(博士後,Post Doctor) 과정에 대한 인증을 획득, 중국 최고급 인력 양성에 나선다.
「박사후과정」이란 중국정부가 공식 인정하는 중국 내 최고급 인력양성 과정으로 박사학위 취득자 인력고급화에 주력하는 산학연계 프로그램이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중국 국가 인사부로부터 비준을 획득한 박사후과정은 중국 내에서도 극소수의 기업만이 자격을 취득한 것으로, 기존 모토롤라,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해 삼성전자가 세번째로 자격을 취득했다.
삼성전자는 28일(현지시간) 중국 북경 인민대회당에서 「삼성전자 중국 통신연구소 박사후과정 개원식」행사를 갖고, 박사후과정과 관련해 중국의 칭화(淸華)대학, 베이징요우디엔(北京郵電)대학 등과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 날 행사장에는 삼성전자 이기태(李基泰)사장을 비롯한 중국 고우쭝위엔(苟仲文) 신식산업부 차관, 쉬쏭타오(徐頌陶) 인사부 차관, 쉬친(許勤) 국가 발전개혁위원회 사장(司長), 린찐통(林金桐) 북경우전대 총장, 공커(사용한자에 없습니다 "龍밑에 共"克) 청화대 부총장,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 인민일보 등 정계, 학계, 업계 와 중국 내 주요언론 등 에서 200여명 이상의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삼성전자 이기태사장은 "이번 박사후과정 인증 획득으로 중국 내 우수한 인재와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등 산학협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세계적인 우수기술을 확보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기태사장은 "청화대, 우전대 등 주요 대학과 긴밀히 협력하여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전문성 있는 인재를 육성하겠다."며 , "중국사업에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중국에서 가장 신뢰받는 최고의 디지털기업이 되겠다."라고 중국사업의 비전을 제시했다.
삼성전자는 박사후과정 운영을 통해 중국 내 핵심인력을 발굴하고 과정에 참여한 최고급 인력을 우선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중국에는 연간 8천~9천명(박사인력 중 26%)에 이르는 박사후 인력들이 있다.
중국에서는 주로 대학 및 연구기관이 국책과제를 수행하는데, 박사후과정 인증으로 이러한 기관들과 함께 국책사업 참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박사후과정 운영이 연구소의 기술수준, 연구능력에 대한 평가기준으로 인식돼 삼성전자 통신연구소에 대한 인지도 및 기업 이미지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의 박사후과정은 중국내 유수의 대학들과 공동으로 연구과제를 정하고, 이에 따라 박사후 인력을 선발하여 2년간 과정으로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삼성전자는 박사후과정의 첫 과제로 HPi(휴대인터넷)용 단말 요소기술(MIMO:Multi Input Multi Output)을 선정했다.
삼성전자 개요
삼성전자는 반도체, 통신, 디지털 미디어와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리더다. 삼성전자는 디지털 어플라이언스 부문, 디지털 미디어 부문, LCD 부분, 반도체 부문, 통신 네트워크 부문 등 5개 부문으로 이뤄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인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디지털 TV, 메모리 반도체, OLED, TFT-LCD 분야에서 세계 선두 주자다.
웹사이트: http://www.samsung.com/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