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주요 사료 및 사료원료 수입 동향

- 사료원료 및 사료조제품 중량·수입가격 분석

대전--(뉴스와이어)--2012년 주요 사료 및 사료원료 수입 동향

1. 사료산업

(사료산업) 가축의 종류와 사육목적에 맞는 영양분을 골고루 공급하기 위하여 원료를 알맞게 배합한 사료를 만드는 산업

국내 부존자원의 부족으로 실질 수입의존도가 높음

제조원가 중 원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80∼85% 수준으로 높은 수준

배합사료 가격은 국제 사료원료가격 및 환율변동의 영향이 큼

2. 주요 사료조제품 수입동향

(배합사료) 주요 배합사료 수입중량은 10년전 대비 대폭 증가(905.3%), 평균수입가격은 감소(△60.3%), 다수의 배합사료 품목은 수입가격 상승세

총계기준 배합사료의 수입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다수의 배합사료 품목은 상승세를 보임
- 어류용, 대용유, 축우용, 양돈용 배합사료의 가격은 상승세로, ‘02년(1-9월) 수입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거나, 일부 하락세를 보이는 품목의 영향으로 전체 수입가격은 감소세

목적별 수입되는 비중은 축우용>기타>어류용>양돈용>대용유>양계용 순임

(애완용사료) 애완용사료의 수입중량은 증가(44.2%), 수입가격은 상승(139.2%)

애완동물의 사육증가로 애완용사료의 수요량이 증가되는 추세며, 10년전 대비 가격상승폭이 높게 형성

애완용사료 內 용도구별이 가능한 ‘09년 이후의 추세는, 개사료의 수입중량은 증가(’09→‘12 : 14.9%), 수입가격은 상승(’09→‘12 : 36.3%), 고양이사료의 수입중량은 증가(’09→‘12 : 130.7%), 수입가격은 상승(’09→‘12 : 28.8%)

3. 주요 사료원료 수입동향

(곡류) 옥수수(사료용), 밀(소맥,사료용), 대두는 상위 3순위 점유율 지속, 주요 사료원료 중 곡류는 수입가격면에서 대폭 상승

고가인 옥수수(사료용), 대두는 10년전 대비 수입비중 축소세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수입가격이 낮은 매니옥 펠리트의 수입비중 증가(581.4%)로 곡류 사료원료의 대체재 역할
- 옥수수(사료용)의 주요 교역국은 ‘02년(중국)→’12년(미국)으로 변화
- 겉보리는 ‘02년 1-9월의 누계 수입중량이 ‘02∼‘12년도 기준 최저치인 관계로 10년전 대비 증감수치가 다소 과대 산출됨

(식물성단백질) 대두박, 팜박, 야자박은 식물성단백질 內 점유율 우위 지속, 세부품목의 10년전 대비 수입가격은 대폭 상승(122.0∼170.8%)

브라질산 수입중량이 강세인 대두박은 높은 수입가격의 형성으로 수입비중이 축소(‘02 → 65.9%, ‘12 → 54.0%)되었고, 상대적으로 수입가격이 낮은 팜박, 야자박의 수입비중은 증가
- 수입가격면에서 가장 경쟁력이 높은 팜박의 경우는 10년전 대비 수입중량이 177.6% 상승

(동물성단백질) 어분과 육분 모두 수입가격 대폭 상승, 상대적으로 저가인 어분은 수입중량이 유지, 육분 수입중량은 감소 추세

어분 수입비중은 칠레산이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이며, 육분 수입 교역국은 미국에서 호주로 변화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통관기획과
이현주 사무관
042-481-7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