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대한통운등 35사 서비스품질우수 인증
`05년 상반기 서비스품질우수기업인증 제도운영에서의 특이 사항은 서비스품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전반적으로 확산되어 인증 수요가 운송, 교육, 보건 레저 등의 업종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공공분야에서 서비스품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ㅇ전년 대비 인증기업의 증가
- `04년도 36개 기업 → ‘05년도 상반기 35개 기업
ㅇ공공서비스 분야에 대한 인증
- 지방자치단체의 시설관리공단(서울특별시 동작구, 과천시)
- KT 및 인포데이터(114전화번호안내)의 본사 및 지역 사업장, 특허정보원 콜센타
※ 서비스에 대한 품질개념의 조기 정착을 위해서 공공서비스 분야의 인증 증가는 바람직하며, 프랑스의 경우에도 철도역 등 공공서비스 분야에 대한 인증으로 사회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 향상을 촉진
'서비스품질 우수기업 인증제도’는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서비스품질이 우수한 기업에 인증을 해주는 서비스분야의 유일한 정부 인증제도 임
2001년부터 국민의 일상 생활과 밀접한 백화점, 택배, 병원, 여행사와 비즈니스서비스 분야인 빌딩관리업, 콜센터 등 50개 서비스업종을 대상으로 인증
인증기업에 대해서는 정책적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안정적인 경영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경쟁력있는 서비스업으로 육성
중소기업청의 지식기반서비스육성자금 지원, 조달청 일반용역 적격심사의 신인도 평가, 신용보증기금 및 서울보증보험의 보증심사 등에서 우대
기술표준원은 서비스산업의 품질 향상을 통한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기 위하여 수요자 중심으로 서비스 분야에 대한 표준화와 인증 정책을 유지 발전 시킬 계획임
하반기부터는 유아교육기관, 전시 및 행사 대행업, 건축설계 및 관련 서비스업의 3개 업종을 추가하여 인증대상업종을 53개 업종으로 확대
서비스업종 만을 대상으로 최초의 정부포상제도를 도입하여 ‘05년도 9월에 개최되는 제1회 서비스품질향상촉진대회에서 서비스품질향상 유공기업과 유공자에 대한 정부포상 실시
웹사이트: http://www.mke.go.kr
연락처
홍보담당관실 이춘호 2110-5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