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사이드 갤러리, 장재록 개인전 ‘Memento of Momentum’ 오픈

서울--(뉴스와이어)--2010년 중국 개인전 이후 평면뿐 아니라 설치와 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고 있는 장재록 개인전이 오는 11월에 아트사이드 갤러리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작가는 한국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고 또한, 자신의 예술적 영역을 확장하는 의미로 설치와 영상작업에 매진해 왔으며 이는 자신의 멀지 않은 미래에 대한 표현이라 설명하고 있다.

“Heart (심장)”이라고 쓰여져 있는 거대한 시멘트 큐브를 깨고 그 안에서 자동차의 엔진을 찾아내는 설치 작품은 그 동안 장재록의 평면작품의 대표 주제인 자동차와 맥을 같이한다. 8톤이 넘는 시멘트에 엔진을 넣고 그것을 양생을 한 콘크리트를 작가는 해머 등을 사용해 직접 발굴하듯이 콘크리트 속에서 엔진을 다시 찾아내는 작업을 진행했다.

동력기관의 발명은 지금의 산업사회로 발전하는 주된 원동력이었다. 쉽게 말해, 현 산업사회의 심장 역할을 해 온 기관이 바로 이 자동화를 위한 동력기관이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산업사회의 다양한 풍경들을 천 위에 먹으로 표현하고 있는 장재록이 엔진을 심장으로 시멘트에서 발굴 혹은 발견하는 의미로서의 설치 작품은 그의 표현대로 예술적 상상력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번 전시를 통해 장재록은 철골구조를 지닌 교각을 주제로 한 평면작품을 새롭게 선보일 예정이다. 이 작품은 말 그대로 이쪽과 저쪽을 잇는 의미를 지닌 교각으로서 현재와 미래, 과거와 현재 또는 동양과 서양 등 서로 이어질 수 없을 것 같은 두 개의 요소들을 연결한다. 그 동안 뉴욕의 가장 번화한 타임스퀘어의 밤 풍경을 작업해 왔던 작가는 그 작품을 통해 화려한 도시의 이면에 놓여있는 산업사회의 허무함을 표현해 왔다면 복잡하게 서로 얽혀있는 철 교각은 산업사회에 대한 작가의 또 다른 해석의 여지를 보여주고 있다.

교각의 발달은 곧 자동차 산업의 발달과 그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즉, 자동차를 제조하여 소비하려 할 때, 자동차를 위한 도로가 확보되지 않는다면 그 산업은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작가는 현대 산업사회를 이끌어 온 동력기관과 그 동력기관을 활용하려는 다양한 부대산업들이 동시에 발전해 왔음에 주목하며 그것을 작가 특유의 감수성으로 표현해 왔다는 것이다. 작가는 엔진과 같은 동력기관이야말로 어쩌면 미래에서 현대를 발굴하거나 시대상을 확인하려 할 때 가장 먼저 찾아야 할 유물이 될 것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는지 모를 일이다.

화려함과 허무함이라고 하는 산업사회가 지니고 있는 양면의 감정들을 표현해 왔던 작가는 영상작업을 통해 다시 자연과 인류문명의 대립관계를 표현하고 있다. 결국 인류는 지구라는 자연에서 얻는 에너지를 가지고 삶을 살고 있지만 스스로 동력기관을 통해 인위적인 에너지를 만들고 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위적인 동력은 그것이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연료의 소비가 전제되어야 한다. 자연은 말 그대로 스스로 순환하여 에너지를 생산한다. 오히려 거기엔 그 어떤 소비가 전제되는 것이 아니라 순환과 재생산이 전제된다. 따라서 지구는, 자연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커다란 무동력 발전기라 할 수 있다. 작가는 결국 인위적인 동력을 통해 자연의 무한한 에너지와 순환을 고민해 온 듯 하다.

장재록 작가는 본 전시를 통해 기존에 표현해 온 수묵기법을 한 단계 더 풍부하게 표현하는 섬세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흑백의 또 다른 화려함과 다양한 색의 깊이를 보여주고 있다. 면 천 위에 수묵으로 작업하는 기존의 재료는 고수하면서 그 색감을 한 층 더 풍부하게 그려냄으로써 흑백이지만 강렬한 색채가 느껴지리만큼 그 디테일에 집중된 작품들이다.

작가의 주요 테마인 자동차 역시 최신의 모델을 표현해 왔던 기존의 틀에서 클래식한 모델들을 표현함으로 인해 화려한 문명의 꽃으로서 자동차에 집중해 왔던 작가의 인식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경쟁과 소비를 주도하고 있는 날카로운 산업사회와 그 이면을 최신의 디자인으로 무장된 화려한 자동차에서 찾았다면 클래식한 자동차에서는 보다 인간적이고 정적인 느낌으로 현 사회를 바라보고 그 속에서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인간미를 느꼈다고 해야 할까. 그 변화된 감수성으로 인해 수묵의 깊이뿐 아니라 작품 전체에 면면히 흐르는 역사의 따뜻함과 품격이 느껴지는 듯 하다.

전시문의:아트사이드 갤러리(Tel. 02-725-1020)

<전시개요>

전 시 명: 장재록 개인전 “Memento of Momentum (가속의 상징)”
전시기간: 2012년 11월 8일 - 11월 29일
전시 오프닝 : 2012년 11월 8일 (목요일) 오후 5시
출품 수: 설치, 영상, 드로잉 평면작품 20여 점
장소: 아트사이드 갤러리 (종로구 통의동 33번지)
전시담당: 임대식 큐레이터 02-725-1020 / 010 3453 8445

<작가약력:장재록>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미술학 박사 과정
2006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동양화과, 미술학 석사
2004 단국대학교 동양화과, 미술학 학사

개인전
2011 BLOT BACKGROUND, 갤러리 아트사이드, 북경, 중국
2009 ANOTHER LANDSCAPE 20091107, 코리아아트센터, 부산, 한국
2009 ANOTHER LANDSCAPE 20090527, 갤러리 현대, 서울, 한국
2009 ANOTHER LANDSCAPE 20090327, 샘터화랑, 서울, 한국
Wellside Gallery, 상하이, 중국
2008 ANOTHER LANDSCAPE 20081030, UM 갤러리, 서울, 한국
2008 ANOTHER LANDSCAPE 20080807, 세오갤러리, 서울, 한국
2007 ANOTHER LANDSCAPE 20080905, 인사아트센터, 서울, 한국

단체전
2012 Big Black Smoke, gallery gencher, 함부르크, 독일
2011 백년몽원, 서울시립미술관(난지갤러리), 서울 한국
2010 한국화 판타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
2010 wow~! funny pop,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한국
2010 한국화의 이름으로,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한국
2010 허상과 욕망에의 기록, 시안미술관, 영천, 한국
2010 Art Docking Spot, 우명미술관, 하남, 한국
2010 아트로드77, 금산갤러리, 헤이리, 한국
2010 do window vol2, 갤러리현대, 서울 한국
2010 퍼블릭아트 선정작가전, 금산갤러리, 헤이리, 한국
2010 korean art show, la venue, 뉴욕, 미국
2009 삼경별곡, 아트스페이스h, 서울, 한국
2009 인사미술제, 아트사이드, 서울, 한국
2009 HEROPIA, 세오갤러리, 서울, 한국
2009 art road77, 아트스페이스한길, 헤이리, 한국
2009 Blue Dot ASIA,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
2008 TCAF, 동경, 일본
2008 원더브랜드전, 가나컨템포러리, 서울, 한국

수상
2009 월간 퍼블릭아트 선정작가
2008 세오갤러리 영아티스트 선정
2007 단원미술대전 최우수상

웹사이트: http://www.artside.org

연락처

아트사이드 갤러리
전시담당
임대식 큐레이터
02-725-1020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갤러리 아트사이드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