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폐암, 2세대 표적 치료제 개발 가능성 성큼

서울--(뉴스와이어)--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고경화)은 세브란스병원 폐암전문클리닉 조병철 교수팀이 연세대학교 하상준 교수팀과 함께 난치성 폐암의 표적치료를 위한 2세대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상피세포 성장인자)표적치료제 개발의 주요 기전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국내 폐암 환자 종양의 약 30%는 EGFR 돌연변이*를 갖는데, 1세대 EGFR 표적 치료제인 이레사나 타세바에 매우 좋은 초기 반응을 보이나 평균 8-10개월 후에 획득 내성을 보이게 된다.

* 폐암 발암 유전자 변이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전체 폐암 환자의 약 30%를 차지

이에 따라 1세대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획득 내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2세대 EGFR 표적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특히 내성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연구팀은 표적 치료제 내성 폐암 세포주와 생쥐 모델을 이용,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내성 기전으로 ‘IL-6/JAK/STAT3’ 신호 전달 체계가 활성화됨을 확인하였고 이 신호 전달 체계를 억제했을 때,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 후보물질의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함도 확인했다.

이는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하여 폐암 세포가 빠르게 원발 내성 (de novo resistance)를 획득하며, 이에 IL-6/JAK/STAT3 신호 전달 체계의 활성화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는 난치성 폐암 모델에서, IL-6 또는 JAK 단백질 억제 시 EGFR 표적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원발 내성의 발현을 억제하여 결국 항종양 효과의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혔으며, 이에 따라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2만여 명의 폐암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있다. 그 중 약 30%는 EGFR 돌연변이 (EGFR mutation)이 발견되며, 1세대 EGFR 표적 치료제에 실패하여, 효과적인 표적 치료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가 년간 6,000여명 정도 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어,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가 개발되면 많은 국민들이 폐암 치료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협동중개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암 치료 분야의 주요 저널인 ‘Molecular Cancer Therapeutics (IF 5.2)’ 2012년 10월호에 게재되어 세계적으로도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조병철 교수는 “아직까지 개선해야 할 점이 많은 EGFR 표적 치료제의 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며, 세브란스병원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국적 제약사 베링거잉겔하임의 afatinib*과 노바티스의 JAK 억제제인 ruxolitinib**을 병용하여,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내성 기전을 억제하여 표적 치료제의 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계속할 예정이다”하고 밝혔다.

* afatinib(아파티닙) : 베링거잉겔하임이 개발 중인 경구용 신규 유망 항암제
** ruxolitinib(룩소리티닙) : 세계 최초로 허가받은 JAK 억제제, 희귀병 ‘골수섬유증’ 치료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개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보건산업의 육성 발전과 보건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지원사업을 전문적·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건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웹사이트: http://www.khidi.or.kr

연락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중개연구단
043-713-8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