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체보다 이자가 싼 대출 직거래 크라우드상품이 뜬다
크라우드펀딩의 평균금리는 26%정도로 저축은행의 저신용자 대출과 대부업체 38.8%보다 낮은 수준이다. 투자자수는 5만 명 정도이고 평균 수익률은 20%정도로 추산되지만 이자소득세 27.5%를 납부하면 리스크에 비하여 수익은 높지 않다. 특히 신용도가 높고 부채가 적은 대출신청자 일수록 10% 이하의 낮은 금리에도 자금을 빌릴 수가 있다.
업계에 따르면 머니옥션, 팝펀딩, 펀듀 등 현재 20여개의 크라우드펀딩 업체가 운영 중이고 올해 대출신청 누적금액이 2,000억 원에 달하고 있다. 특히 최근 금융권 문턱이 높아지면서 기존 저축은행·캐피탈에서 연 30%대에 대출을 받던 사람이 조금이라도 금리가 싼 쪽으로 대거 옮겨 오고 있어 크라우드펀딩 시장은 지난해보다 40%정도 성장했다고 한다.
특히 오퍼튠이라는 기업금융 크라우드펀딩도 등장하여 중소·벤처기업, 신생기업이나 소규모 창업자, 문화컨텐츠를 대상으로 한 대출, 지분투자와 같은 업무가 이루어지고 있어 개인에서 기업, 문화컨텐츠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 크라우드펀딩이 자금조달에 한계가 있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자금의 공급원이 될 수 있어 기존 방식으로 해결이 되지 않는 금융소외 계층을 위한 미소금융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등 긍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아직은 크라우드펀딩 업체가 규모가 작거나 법적인 제도가 완비되지 않아 채권자 보호장치가 부족하여 금융사고의 위험을 가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업계 1위 머니옥션은 이러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여신거래약정서를 인터넷으로 작성하여 법무법인의 공증 등을 함으로 법적인 보호 장치를 마련하고 심사팀과 채권관리팀을 보유하고 있어 지속적인 연체관리를 한다”며 다른 크라우드펀딩 업체도 투자자 보호를 위해 “연체관리를 할 수 있는 자체 시스템을 보유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시연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의 크라우드펀딩 손실은 투자자가 책임지는 구조”라며 이를 보완하여 “투자자 손실을 줄이고 서민·중소기업에 대한 적정금리 산출, 신용관리, 수수료 등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를 하여 서민금융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금융플랫폼 개요
(주)한국금융플랫폼은 금융산업의 패러다임에 맞추어 사회 공익성과 기업의 수익성을 목적으로 투자자들과 가치있는 유망기업 모두가 Win-Win 할 수 있는 사회 협력형 금융 플랫폼으로서 창조적인 혁신기업에 대한 금융의 접근성을 촉진시키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위한 창의적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머니옥션: http://www.moneyauction.co.kr/
웹사이트: http://www.kofp.kr
연락처
(주)한국금융플랫폼
마케팅팀
02-576-4255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