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환자의 잘못된 발 관리로 절단까지 간다

서울--(뉴스와이어)--발가락 변형의 원인은 좁은 신발 속에서 꺾여있거나 무지외반증에 의한 동반 변형, 외상, 선천성 질환 등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발가락의 변형이 있는 것만으로는 특별한 통증을 느끼지 않고 불편함이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가락의 변형은 피부못(corn)과 동반되어 나타나기 쉽다.

보통 굳은살 또는 심 이라고도 말하는 이 피부못은 잘 관리하지 않으면 심한 통증과 함께 만성적인 궤양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 심하지 않은 경우는 발가락 사이에 보조기나 특수 깔창 등을 사용하여 증상의 경과를 지켜볼 수 있다.

경미한 인대의 이상만 있는 경우 위와 같은 보존적인 치료 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인대의 만성적인 변형과 함께 뼈의 변형이 동반된 경우는 교정술을 시행하여야만 한다. 특히 당뇨가 있는 경우는 이러한 변형으로 인하여 만성적인 굳은살(callus)이 형성되고 열린 상처로 진행되면서 뼈에까지 염증이 진행되는 골수염에 이르는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상처가 진행되기 전에 변형된 발과 발가락의 모양을 교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염증이 심해져서 내원하는 당뇨 환자의 발을 보면 이러한 기형이 동반된 경우가 흔히 관찰되며 이러한 문제로 인한 작은 상처들이 결국은 돌이킬 수 없는 심하게 진행된 감염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흔하다.

당뇨환자들 중 특히 당뇨병성신경병증의 합병증이 있는 환자들은 발의 감각이 떨어져 있는 경우가 흔하다. 펄펄 끓는 물에 발을 담그고도 시원하게 찜질을 하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환자들은 작은 발가락의 변형이 발을 절단하게 되는 심각한 질환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특히 당뇨환자들의 발은 쉽게 인대의 구축이나 변형 등이 동반되면서 발과 발가락의 변형을 만들기 때문에 이로 인한 발에 다른 문제가 발생하지는 안는지 세심한 주의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발의 심각한 절단을 가장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매 시간, 수시로 당신의 발에 이상이 없나 신발과 양말을 벗고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다. 조그만 문제라도 발견되면 바로 전문가에게 진료를 받고 치료를 해야 한다. 위험한 발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을 분류하고 그러한 환자들이 조기에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렇게 한다면 발을 절단하는 불행한 일은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신발을 벗고 자신의 발에게 말을 걸어 보자. ‘오늘도 수고 했지, 별일 없니?’ 하고 말이다. 보기 어려운 발바닥 부분은 손거울 등을 이용하여 세심하게 관찰해야 한다.

디앤에프병원 박정민 부원장은 “발의 색이 변하거나 조그마한 물집이 잡힌 듯이 보인다던가, 딱딱한 굳은살이 만져지거나 한다면 바로 전문가의 진료를 받기를 권유한다”며 또한 “전문가의 간단한 진찰이나 진료로 감기처럼 지나갈 수 있는 증상들을 잘못 방치하면 언제든 심각한 상태로 변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자신의 발을 살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매일 세심하게 자신의 발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임을 명심하자.

디앤에프병원 개요
디앤에프병원은 서울 중랑구 중화역(7호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당뇨발, 무지외반증, 지간신경종, 족저근막염, 발목, 당뇨발 등의 족부 치료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

공식홈페이지: http://www.dnfhospital.com/
공식블로그: http://blog.naver.com/kjyos
공식카페: http://cafe.naver.com/dnfhospital

연락처

디앤에프병원
전산과
백동렬 대리
02-434-2119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