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고추, 참깨 생산량 조사결과

대전--(뉴스와이어)--2012년 고추,참깨 생산량 조사 결과

1. 고추 생산량

금년 고추 생산량은 104.1천톤으로 전년의 77.1천톤보다 35.1% 증가

재배면적과 단위면적(10a)당 생산량이 크게 감소했던 전년에 비해 각각 6.8%, 26.5% 증가하여 생산량은 전년대비 35.1% 증가, 평년보다 5.8% 감소

생산량과 재배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나, 가격상승 기대와 기상여건 호조로 금년 생산량은 증가함

재배면적은 45,459ha로 전년 42,574ha에 비해 2,885ha(6.8%) 증가

고추는 노동력이 많이 필요한 작물로 농촌인구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하는 추세이나,

지난해 작황부진에 따른 생산량의 큰 폭 감소로 높은 가격이 형성됨에 따라,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로 재배면적이 증가
* 최근 10년간 고추 재배면적 연평균 감소율(-5.0%) : (‘01)70,736→(’11)42,574ha
* 고추 가격 동향(화건,도매가격,600g,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평년) 6,599원 (‘10년산) 8,306원 → (’11년산) 13,835원(5,529원, 66.6% ↑)

단위면적(10a)당 생산량은 229kg으로 전년보다 26.5% 증가

전년에는 개화 및 착과기(6∼7월)의 빈번한 강우로 고온 다습하였으나, 금년에는 생육기의 기상여건이 양호하여, 탄저병 등으로 작황이 부진했던 전년보다 26.5% 증가, 평년보다 5.8% 감소

* 개화기(5~7월) 강우량 및 일조시간(기상청)
· 강우량(mm) : (‘11) 786.7 → (’12) 413.6
· 일조시간(hr) : (‘11) 473.6 → (’12) 563.2

그러나, 전남, 경남 지역은 8~9월 강한 바람과 많은 강우를 동반한 태풍(볼라벤 등)의 영향으로 풍해가 발생하여, 수확이 조기 종료된 경우가 많아 타 지역에 비해 후기 수확량(9~10월)이 감소하여 소폭 증가

* 피해구역 비율(전체) : (‘10) 59.0 → (’11) 62.7 → ('12) 45.6%
· 병충해 : (‘10) 47.7 → (’11) 56.1 → ('12) 26.9
· 풍 해 : (‘10) 3.2 → (’11) 2.0 → ('12) 12.0%

* 8~9월 강우량(전국) : (‘11)342 → (‘12)668㎜
· 전남 : (‘11)379 → (‘12)804㎜
· 경남 : (‘11)372 → (‘12)745㎜

도별로는 경북이 31.4천톤으로 생산량이 가장 많으며, 전국 생산량의 30.1%를 차지

다음으로는 전남(18.6천톤), 전북(12.5천톤), 충북(10.2천톤)순임

2. 참깨 생산량

금년 참깨 생산량은 9.7천톤으로 전년의 9.5천톤보다 1.8% 증가

재배면적은 전년에 비해 2.2% 감소하였으나, 단위면적(10a)당 생산량이 5.4% 증가하여, 전체 생산량은 전년보다 1.8% 증가

연도별 생산량 및 재배면적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나, 금년 생산량은 생육기 기상여건이 전년에 비해 양호하여 소폭 증가

재배면적은 25,076ha로 전년의 25,649ha에 비해 2.2% 감소

농촌의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및 연작 피해에 대한 우려로 재배면적은 다소 감소

단위면적당(10a당) 생산량은 39kg으로 전년보다 5.4% 증가

꼬투리가 여무는 시기(8~9월)에 잦은 강우와 태풍으로 인한 풍해가 있었으나, 생육기 기상여건의 양호로 단위 면적당(10a당)생산량은 전년보다 5.4% 증가, 평년보다 17.0% 감소

* 피해구역 비율(전체) : (평년) 48.7 → (‘11) 67.8 → (’12) 56.5%
· 풍 해 : (‘11) 7.3 → (’12) 27.0%
· 수·습해 : (‘11) 42.2 → (’12) 10.6%
· 병 충 해 : (‘11) 10.7 → (’12) 7.3%
* 5~8월 강우량(전국) : (평년)804㎜, (‘11)1,128 → (‘12)1,081㎜

그러나, 참깨 주산지인 전남을 비롯한 경남의 참깨 이모작 재배지역은 8~9월에 발생한 태풍의 중심 세력권에 위치하여 풍해가 많이 발생하여 10a당 생산량이 전년에 비해 크게 감소

도별로는 경북이 2.4천톤으로 생산량이 가장 많으며 전국 생산량의 25.0%를 차지하며, 전남(2.2천톤), 충북(1.1천톤), 경남(1.0천톤)순으로 나타남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사회통계국 농어업통계과
사무관 김정섭
042-481-2479